일본 정부가 ‘종군(從軍) 위안부’라는 용어 대신 ‘위안부’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견해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일본 우익들이 위안부 동원에 대한 강제성을 부정하기 위해 줄곧 주장했던 것을 정부가 받아들인 것이다.
28일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바바 노부유키(馬場伸幸) 일본유신회 중의원 의원은 최근 “종군 위안부라는 용어에는 군에 의해 강제 연행됐다는 이미지가 담겨 있다”며 적절하지 않다고 정부에 질의했다. 그러자 일본 정부는 27일 각의(국무회의)에서 “종군 위안부라는 용어를 쓰는 것은 오해를 부를 우려가 있다. 단순히 위안부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는 답변서를 결정했다.
이번 각의 결정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1993년 고노 담화를 부정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고노 담화는 “위안소는 당시 군 당국의 요청에 따라 마련된 것이며 위안소의 설치, 관리 및 위안부의 이송에 관해서는 옛 일본군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에 관여했다”고 명시했다.
일본 정부는 “이번 결정은 향후 교과 검정에 반영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부 중고교 교과서 등에 사용되고 있는 ‘종군 위안부’라는 표현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도 최근 종군 위안부라는 표현을 거의 쓰지 않지만 이유는 다르다. ‘종군 기자’와 마찬가지로 ‘종군’이란 표현이 ‘군대를 따라간다’로 해석돼 자발적으로 위안부가 됐다는 잘못된 인식을 줄 수 있다는 게 이유다. 한국 외교부도 ‘일본군 위안부’라는 표현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