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종전(패전) 76주년을 맞은 가운데 일본인 2명 중 한 명은 일본의 침략 행위에 대해 자국 총리가 반성을 표명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일본여론조사회가 유권자 1889명에게 6, 7월 우편으로 실시한 평화에 관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49%는 8월 15일 전국전몰자추도식에서 총리가 ‘가해(加害)와 반성을 언급할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가해와 반성을 언급해야 한다’는 답변은 47%였다. 지난해 ‘국민이 주변국에 반성과 사죄의 마음을 가져야만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가질 필요가 있다’가 50%, ‘가질 필요가 없다’가 46%였다.
1994년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총리 이후부터 일본의 역대 총리들은 추도식에서 아시아 여러 나라에 대한 일본의 가해 행위와 이에 대한 반성을 언급했다. 하지만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는 2012년 말부터 작년까지 재임하는 동안 이를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점차 우경화하고 있는 일본의 현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가 취임 후 처음 맞는 올해 추도식에서 일본의 가해 행위에 관해 어떤 태도를 보일지 주목된다.
일본이 앞으로 전쟁할 가능성에 대해선 ‘없다’(58%)는 응답자가 ‘있다’(41%)는 응답자보다 많았다. 전쟁 가능성이 있다는 답변 비율은 작년 조사와 비교해 9%포인트 높아졌는데 이는 미중 간 대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도쿄신문은 분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