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정부가 정부 소유 건물 출입 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추적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의무화하자 가짜 앱이 등장했다.
3일(현지시간) 홍콩 공영방송 RTHK는 가짜 코로나19 동선 추적 앱을 사용한 혐의로 5명이 체포됐다고 밝혔다. 이들 5명은 전날 오후 5시경 가짜 코로나19 추적 앱을 사용해 입경사무처(이민국) 건물과 심계서(감사원) 건물에 들어가려다 적발됐다. 이 중 3명은 공무원, 2명은 용역업체 직원이었다.
이달부터 홍콩 정부는 우체국, 도서관, 관공서 등 정부 소유 건물과 농수산물 시장 출입 시 코로나19 앱인 ‘리브홈세이프(LeaveHomeSafe)’를 통해 QR코드 스캔을 의무화했다. 그간 홍콩은 방역 정책의 일환으로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수기로 개인정보를 작성하도록 해왔다.
그러나 정부가 QR코드 스캔을 의무화하자 ‘백홈세이프(BackHomeSafe)’라는 가짜 앱이 등장하게 됐다. 홍콩 경찰은 해당 앱을 앱스토어에서 삭제하고, 이를 만든 사람들을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콩인들이 앱 사용을 거부하는 데는 2019년 대규모 반정부 시위 이후 정부에 대한 불신이 기저에 깔려있다. 정부의 앱을 깔았다가 데이터가 유출될 것을 걱정하고 있다. 대부분의 홍콩인들은 정부의 코로나19 앱을 설치하지 않고 개인정보를 수기로 작성했다.
한편, 이 매체는 홍콩정부가 앱 사용을 의무화하자 저가의 스마트폰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19 앱 사용 시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될 것을 걱정한 이들이 해당 QR코드 스캔 용도로만 쓸 별도의 휴대전화 구매에 나섰다는 것이다.
800홍콩달러(약 12만 원)를 주고 새 스마트폰을 구매한 한 고객은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지금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정부의 앱을 깔고 싶지 않다. 그 앱을 통해 내 폰 안의 데이터와 사진에 접근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