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국제
“美 노동력 부족 심화…방치시 경제 회복 불가능”
뉴시스
업데이트
2021-11-05 15:23
2021년 11월 5일 15시 23분
입력
2021-11-05 15:23
2021년 11월 5일 15시 23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미국이 점점 악화하고 있는 노동력 부족 사태를 방치할 경우 코로나19 위기로부터 회복세를 보이던 미 경제에 회복할 수 없는 위협이 될 것이라는 전문가 경고가 나왔다.
4일(현지시간) 미 민간 경제연구기관 콘퍼런스보드의 개드 레바논 노동시장연구소장은 CNN 기고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미국은 노동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개드 레바논 소장은 많은 사람들이 미 연방정부의 실업수당 혜택이 만료되고 학교들이 개학하면 근로자들이 직장에 복귀해 노동력 부족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히려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콘퍼런스보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채용에서 적격자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올해 2분기 57%에서 3분기 74%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미자영업연맹의 지난 9월 조사에 따르면 소기업의 과반수(51%)가 채워지지 않는 일자리가 있다고 답했고,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일자리를 자발적으로 그만두는 비율은 연속해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개드 레바논 소장은 여전히 코로나19 감염을 두려워하는 일부 노동자들이 복귀를 미루고 있고, 대규모 민간 기업에 대한 백신 의무화로 인해 이를 꺼리는 근로자 채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감소한 노년층의 노동 참여율도 배경으로 들었다. 노년층은 코로나19로 인해 더 아플 위험이 크거나 최근 주가와 주택 값이 급등해 재정적으로 은퇴할 준비가 됐다고 느끼기 때문에 회복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노동자 부족 현상이 내년까지 계속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이런 현상이 지속될 경우 내년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 전망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이 인력 충원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으면 임금 상승이 뒤따른다. 9월 미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개월간 시간당 평균 소득이 연간 6% 증가했다. 코로나19 이전 10년 동안 평균의 2배 이상이다. 이는 기업의 이윤을 감소시키고 물가 상승을 부채질한다.
그는 인건비 증가뿐 아니라 올해 일부 기업들은 근로자를 구하지 못해 운영에 영향을 받으며 수익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이 노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이민정책에서 특정 기술에 대한 노동시장의 요구를 반영하거나, 기업들이 노동에 덜 참여해온 인구통계학적 그룹에서 더 많이 고용하려고 시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책 입안자, 비즈니스 리더들이 노동력 부족이 추래하는 위험을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한다면 미국이 팬데믹으로부터 경제적으로 완전히 회복하지 못 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친모가 쌍둥이 자녀 2명과 극단선택 시도…병원 33곳 이송거부
개통 2개월 만에 동해선 사망 사고…근덕역서 30대 근로자, 작업차에 치여 숨져
평택 빌라서 “20대 외국인 근로자들 복통 호소” 신고…1명은 숨져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