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이란 핵협상 재개를 앞두고 이란과 임시 합의안을 도출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 인터넷 매체 액시오스는 17일(현지시간) 3명의 미국, 이스라엘 소식통을 인용해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스라엘 측과 이 같은 안을 협의했다고 전했다.
임시 합의안 논의가 아직 초기 수준이고 조 바이든 행정부는 2015년 체결된 이란 핵협정(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의 완전한 복원을 바라고 있지만, 오는 29일 오스트리아 빈에세 재개되는 이란 핵협상을 앞두고 대화에 숨통이 트이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액시오스에 따르면 설리번 보좌관은 최근 에얄 훌라타 이스라엘 국가안보보좌관과 이란 핵협상의 다음 단계에 대해 논의하면서 이런 아이디어를 제시했다고 한다.
임시 합의안 필요성이 언급된 것은 이란이 핵무기 개발에 필요한 우라늄 농축 수준에 근접했기 때문이라고 액시오스는 전했다.
미국이 구상하는 임시 합의안에는 이란의 우라늄 농축 등 핵활동을 제한하는 대신 미국과 동맹국들이 대 이란 제재로 동결된 자금 일부를 풀거나 인도적 물품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한다. 이란은 최근 나탄즈 핵시설에서 농축 우라늄 수준을 60%까지 확대했다. 설리번 보좌관의 제안에 훌라타 보좌관은 이란이 핵시설과 우라늄 비축량을 유지할 수 있는 영구적인 협정이 될 수 있다며 난색을 보였다고 액시오스는 보도했다.
훌라타 보좌관은 지난 16일 설리번 보좌관과의 전화통화에서 다음주 빈에서 열리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회의에서 미국과 유럽 동맹국들이 이란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채택할 것을 요구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액시오스의 보도에 대해 이스라엘 국가안보위원회는 기사의 세부 내용은 부정확하다면서도 설리번 보좌관과 훌라타 보좌관 사이에 이같은 논의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부인하지 않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