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 5개월만인 29일(현지시간) 미국과 이란의 핵 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동시 복귀를 위한 협상이 재개되지만 전망은 그다지 밝지 않아 보인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올해 초 취임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8년 일방적으로 이란 제재를 복원하기 시작하면서 유명무실해진 JCPOA를 복원하기 위해 회담을 시작했다.
그러나 지난 6월 6차 협상을 마치고 난 뒤 이란의 강경파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협상은 중단됐다.
협상이 중단된 뒤 이란은 우라늄을 전례없는 수준으로 농축하는 등 다시금 자국의 핵프로그램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작했다.
특히 지난주 유엔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인 라파엘 그로시가 이란을 방문해 이란 외무장관과 원자력청장 등을 만났지만 어떠한 진전도 이뤄내지 못해 이번 협상에 대한 전망을 더욱 암울하게 만들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란을 방문을 마친뒤 “최선의 노력을 다했지만, 보고서에 지적된 두 가지 이슈 관련 방대한 협상과 숙고에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두 가지 이슈란, 이날 이사회에서 논의하기로 한 IAEA의 이란 핵 개발 상황 관련 보고서의 내용을 의미하는 것이다. 앞서 AFP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보도에 따르면, IAEA의 보고서에는 현재 이란의 고농축 우라늄 비축량이 2489.7kg으로 추산된다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순도가 20%에 달하는 우라늄은 113.8kg, 순도 60%는 17.7kg으로, 9월 비축량(각각 84.3kg, 10kg)보다 늘었다. JCPOA에서 제한한 우라늄 농축 순도는 3.67%이며, 순도 90%는 무기급으로 간주된다.
특히 이란 수도 테헤란 인근 카라즈 공장에서 원심분리기 부품 생산과 핵무기의 핵심인 우라늄 금속 제조가 다시 시작됐다는 말이 외교가에서 전해지고 있다.
미국을 제외한 JCPOA 참가국 외교관들은 JCPOA를 복원하기 위해 IAEA 이사회에서 이란에 비판적인 결의안을 요구하지 않기로 결정했지만 이번 7차 협상 후에도 진전이 없을 경우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현재의 교착상태가 지속된다면 12월 특별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고도 밝힌바 있다.
유라시아그룹의 이란 전문가인 헨리 로마는 “이란이 IAEA와 합의에 도달하기를 꺼리면서 핵 회담에 대한 전망을 안좋아졌다”며 “이란은 자신들이 핵을 개발을 강행하면 서방국가들의 양보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오히려 역효과만을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개최되는 협상에는 이란, 미국, 영국, 중국, 독일, 러시아, 프랑스 외교관이 참석한다. 다만 미국측 외교관은 다른 참가자들과 달리 가상으로 참석하게 된다. (서울=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