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회장이 미·중 반도체 경쟁 심화 국면에서 대화를 통한 해법 도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7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특파원들과 만나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견제에 관해 “국가별, 혹은 국가끼리 갈등(conflict)이 일어나면서 이런 문제가 반도체 산업에 영향을 주는가”라고 자문한 뒤 “준다”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저는 (유사한 상황이) 더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그는 이어 “그렇다고 힘든 것만 있는가. 꼭 그렇지만은 않다”라며 향후 반도체 수요 증가를 전망, “어려운 숙제도 계속 다가오고 좋은 기회도 계속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그는 이어 “어떻게 헤쳐나갈 건가, 왕도가 있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온갖 종류의 시나리오를 만들고, 그런 상황이 생기면 그 시나리오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반도체뿐만 아니라 다른 것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최 회장은 자신이 이사장으로 있는 최종현학술원 주최 트랜스퍼시픽다이얼로그(TPD) 포럼 참석차 워싱턴을 방문 중이다. 그는 미·중 경쟁 국면에서 TPD 개최 의의에 관해 “서로 간에 뭐가 다른지 최소한 이해하기 시작하면 갈등은 좀 줄어들지 않을까”라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포럼 등을 통해 갈등이) 줄어들게 만드는 작용 자체가 어찌 보면 기업이 사회적 가치를 만드는 것”이라며 “그렇게 같이 뭔가 행동을 해야 대한민국도 훨씬 더 (상황이) 좋아질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미국은 중국과의 반도체 경쟁 국면에서 SK하이닉스의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중국 공장 배치를 반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 회장은 이에 관해서는 “현상이 나타나면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는 것”이라며 “어쩌면 비용이 더 들어가는 문제가 생길지 모른다”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미국과 중국 간 양자택일 압박에 관해서는 “정책을 만드는 사람이 그런 걸 요구할 수는 있겠다. 하지만 그에 대해 우리가 부응해야 한다고 느끼지는 않는다”라며 “미국도 중국도 저희가 보면 이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라고 했다.
그는 이런 취지로 “완벽하게 돌아가는 (미국과 중국 간) 디커플링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또 기업 차원에서는 지정학적 위기보다는 기후 변화가 더 큰 리스크라고 역설했다.
최 회장은 “미국과 중국은 서로 얘기하고, 타협하고, 해결책을 내면 될 문제인데 이건(기후 변화는) 완전히 에너지 시스템을 다 바꿔야 하는 문제”라며 “하다못해 반도체를 만들든, 석유화학을 하든, 정유업을 하든 전부 다 바꿔야 한다. 저희로서는 더 큰 숙제”라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에는 척 헤이글 전 국방장관, 리처드 아미티지 전 국무부 부장관,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비확산·군축 담당 특보 등 전직 미국 당국자를 비롯해 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교수 등 석학, 싱크탱크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2박3일의 포럼 기간 인도·태평양 전략에서부터 북한 비핵화, 한미 동맹, 글로벌 공급망 등 광범위한 주제에 관해 심도 있는 토론을 나눈다.
최 회장은 이번 포럼 내용을 “기업 전략에 바로 이용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새로운 솔루션을 자꾸 만들어 전파하다 보면 기업에도, 나중에는 대한민국 국가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