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 거래 주가 182달러로 상승… 시총, 삼성전자 7.7배-한국 GDP 2배
‘2조달러’ 16개월 만에 대기록, 코로나 수혜로 아이폰 승승장구
바이든 빅테크 규제 강화가 변수
“빌, 고맙소. 세상은 더 나은 곳이군요.”
1997년 8월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1955∼2011)는 괴로웠다. 제품의 기술력은 인정받았지만 비싸다는 이유로 소비자의 외면을 받았다. 주가 역시 채 1달러가 되지 않았다. 궁지에 몰린 잡스는 자존심을 접고 경쟁자인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회장에게 도움을 청했다. 게이츠가 1억5000만 달러의 투자를 결정했고 애플은 기사회생했다. 이때만 해도 애플이 25년 만에 ‘주식회사 미국’의 간판 기업이자 세계 최초로 시가총액 3조 달러(약 3600조 원)를 넘는 기업이 될 것으로 예상한 사람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
○ 시가총액, GDP 세계 5위 영국보다 많아
올해 미국 증시의 첫 거래일인 3일(현지 시간) 애플의 시가총액이 장중 3조 달러를 돌파했다. 이날 나스닥 시장에서 애플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5% 오른 182.01달러에 마쳤다. 장중 한때 182.88달러까지 올라 시가총액이 3조 달러를 넘어섰으나 종가로는 다시 3조 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이는 2020년 세계은행(WP) 기준 세계 5위 경제대국인 영국의 국내총생산(GDP) 2조7641억 달러보다 많은 수치다. 같은 해 세계 10위를 기록한 한국 GDP(1조6378억 달러)보다 2배 가까이로 높고 한국 대표 기업 삼성전자의 시가총액보다 약 7.7배 높다. 과거 ‘주식회사 미국’을 대표했던 제너럴일렉트릭(GE)의 30배에 이른다.
1976년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이 공동 창업한 애플은 1980년 상장했다. 이후 여러 굴곡을 겪으면서 20여 년간 주가 또한 이렇다 할 상승세를 보이지 않았다. 반전의 계기는 2000년대 중반 출시한 스마트폰 ‘아이폰’이었다. 아이폰 시리즈가 전 세계 시장에서 불티나게 팔리면서 주가도 고공행진을 거듭했다. 이에 설립 42년 만인 2018년 8월 1조 달러를 넘어섰고 2020년 8월 미 상장 기업 최초로 2조 달러 벽을 깼다. 약 16개월 만인 이날 3조 달러 고지까지 넘어섰다.
애플의 시가총액은 MS(2조5100억 달러),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1조9300억 달러), 아마존(1조7300억 달러), 테슬라(1조2000억 달러) 등 경쟁 빅테크 기업을 제치고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 팬데믹 수혜 입고 질주
애플의 질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의 수혜를 본 덕이 크다. 비대면 기술이 발전하면서 스마트폰 의존도가 더 커졌고 주가 역시 고공행진을 거듭했다. 아이폰에 안주하지 않고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애플TV플러스’, 클라우드 서비스 ‘아이클라우드’, 음악 서비스 애플뮤직, 스마트워치 ‘애플워치’, 무선 이어폰 ‘에어팟’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한 것도 호평을 받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자율주행차, 가상현실(VR) 등 새로운 시장을 계속 개척하는 가운데 아이폰 등 기존 베스트셀러 제품 또한 지속적으로 출시할 것이란 확신을 투자자에게 줬다고 분석했다. 수익성도 독보적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애플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약 2억3300만 대로 삼성(약 2억7000만 대)보다 적다. 하지만 같은 해 6월 말 기준 세계 스마트폰 판매 영업이익 중 75%를 차지해 삼성(13%)을 압도했다.
다만 빅테크 기업이 전염병 대유행을 계기로 사실상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는 비판 여론도 상당하다. 반독점 조사와 청문회 등을 통해 연일 빅테크에 칼을 들이대고 있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에 대한 대응, 반도체 공급난 등은 주요 과제로 꼽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