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침공 빌미’…우크라 정부군과 반군 간 교전이 정말 위험한 이유

  • 뉴스1
  • 입력 2022년 2월 17일 18시 26분


우크라이나 지역별 민족 분포. © 뉴스1
우크라이나 지역별 민족 분포. © 뉴스1
우크라이나 군이 친러 반군이 대부분 장악한 동부 돈바스 지역을 공격했다는 반군 발표가 나오면서 러시아의 침공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돈바스 지역내 친러 반군을 지원해 온 러시아는 그동안 지속해서 이 지역에 대한 정부 측 공격을 침공 명분으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돈바스 지역 내 친러 반군과 우크라이나 군간 교전이 시작된 것은 2014년부터다.

앞서 2013년, 당시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친러 정책에 항의하는 시민들이 반정부 시위를 계속해 결국 정권을 쫓아내고 새로운 친서방 과도정권을 수립했다. 유로마이단이라 불리는 이 시위가 내전의 도화선이 됐다.

친서방 정권이 탄생하자 이에 반발한 동부 친러계 주민들은 격렬한 반대 시위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2014년 3월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했다.

우크라이나 정부와 국제사회는 이에 반발했고, 우크라이나 정부는 당시 반정부 시위를 했던 동부 지역의 분리주의 세력에 강경 대응했다.

오데사나 하르키우 등 일부 지역에서 일어난 시위는 진압됐지만 돈바스 지역의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 주에서는 시위가 계속됐다.

결국 같은 해 4월, 이 지역에서는 러시아계 분리주의 세력과 우크라이나 정부군간 잦은 무력 충돌이 발생하면서 전쟁으로 확대됐다.

같은 해 5월에는 반군점령지역이 분리독립 주민 투표를 강행했고, 이어 자칭 도네츠크 인민공화국(DPR)과 루한스크인민공화국(LPR) 정부 수립을 선언했다. 국제사회는 이들 정부를 승인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반군들은 우크라이나 정부에 끊임없이 자치권을 주장했지만 우크라이나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고 두 세력간 무력충돌은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피해를 낳았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이 지역의 반군에 대한 지원을 이어갔다. 러시아는 반군들이 거주하는 지역을 독립시키면 우크라이나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잦은 분쟁으로 피해가 커지자 2014년 9월 갈등 당사자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분리주의자들은 OSCE의 중재 아래 12개항목으로 구성된 ‘민스크 협정1’에 합의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협정 체결 당사자 간 ‘민스크 협정1’ 위반을 둘러싼 공방은 계속되자 이듬해 2월 당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루한스크, 도네츠크 대표들이 벨라루스 민스크에 모여 16시간에 걸친 협상 끝에 13개 조항이 담긴 ‘민스크 협정2’에 합의했다.

장고에 걸친 두번째 협정은 2015년 2월 말까지 돈바스 지역에서 중화기 철수가 이루어지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얻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조항들에 대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를 포함해 이해당사자들이 이견을 보이면서 협정 체결 8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돈바스 지역에서의 무력 충돌은 멈추지 않고 있다.

유엔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폭력사태가 완전히 중단되지는 않았으며 현재까지 이 지역에서 1만4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특히 이번 루한스크와 도네츠크 공화국을 향한 우크라이나 군의 공격 소식은 러시아가 나토에 우크라이나를 회원국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요구하면서 국경에 10만명 이상의 병력을 집결시킨 이후 나왔기 때문에 긴장이 더욱 고조시켰다.

리아통신과 스푸트니크통신 등 러시아 매체들은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정부군이 친러 반군이 대부분 장악한 LPR과 DPR에 박격포 등으로 공격을 가했다고 반군 발표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에 휴전 모니터링 기구인 공동통제조정위원회(JCCC) 내 LPR 대표는 “우크라이나 정부군은 무기를 사용해 공격을 강행하면서 ‘민스크 협정’을 위반했다”고 비판했다.

앞서 서방국가들은 러시아가 돈바스 지역에서 우크라이나의 도발이 있을 경우 이를 침공 명분으로 삼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실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5일 “우크라이나가 돈바스 지역에서 ‘집단 학살(Genocide)’을 벌였다”고 주장하는 등 끊임없이 이 지역을 침공 명분으로 삼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14년 크림반도 강제합병 직전에 러시아는 이 지역에 거주하는 친러시아계 사람들이 우크라이나 군에게 탄압을 받고 있다면서, 이들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군대를 파견하기도 했다.

다만 이번 공격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루한스크 공화국 공격과 관련한 일체 혐의를 부인했다.

우크라이나 연합군 작전 담당 공보관은 로이터에 “우리 군은 금지된 무기로 공격당했음에도 일체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현지 충돌 방지를 위해 감시하는 OSCE는 이번 공격 소식에 대해 아직 공식적인 발표를 내놓지 않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