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 계좌에 동결돼 있는 총 70억 달러(약 8조5708억 원)의 이란산 원유 수입 대금의 반환을 둘러싼 사전작업이 시작됐다.
2018년 미국이 이란과의 핵합의를 탈퇴하고 대이란 경제 제재를 강화하면서 미국의 동맹인 한국 또한 이 돈을 동결했다. 이란은 줄곧 이 돈은 한국과 이란의 문제라며 반환을 요구해 왔다.
13일(현지 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호세인 아미르압돌라히안 이란 외교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동결 자금 중 일부를 풀어주기로 외국은행 한 곳과 얘기가 됐다”며 “언제 어떤 방식으로 자금을 풀어줄지에 대한 ‘예비 합의(Preliminary Deal)’”라고 밝혔다. 이 국가 관계자가 이란 수도 테헤란을 찾아 이란중앙은행 및 외교부 관료 등을 만났다고 통신은 전했다.
아미르압돌라히안 장관은 이 외국은행이 한국의 은행이라고 언급하지 않았으나 우리 정부는 “(이란이 언급한 나라가) 우리나라인 건 맞다”고 밝혔다. 다만 이란의 주장처럼 ‘예비 합의’가 아니라 단순한 ‘실무 논의’였다고 선을 그었다. 서방과 이란이 핵합의를 복원하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만 먼저 이란 자금을 풀어주긴 어렵다는 의미다.
정부 관계자는 “향후 이란 동결 자산에 대한 해결책이 나오면 그때 일을 신속하고 수월하게 준비하는 정도로 이란과 논의한 것”이라고 했다. 특히 이란이 이미 합의를 봤다는 식으로 언급한 것과 관련해 “실무 논의를 자의로 확대해석했다. 서둘러 동결 자금을 풀어 달라고 압박하는 메시지가 아니겠느냐”고 했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지난해 4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이란과의 핵합의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 행정부가 테러 조직으로 지정한 이란 혁명수비대를 테러단체에서 제외하는 사안 등을 둘러싼 양측 견해차가 상당해 타결이 지지부진하다.
이란은 지난해 1월 인근 해역을 지나던 우리 선박 ‘한국케미’호와 선원들을 환경오염을 이유로 나포한 뒤 사실상 한국에 동결된 원유 대금 반환 요구의 인질로 삼은 바 있다. 우리 정부가 원유 대금 문제 해결 의지를 밝히고 나서야 같은 해 2월 억류를 해제했다.
카이로=황성호 특파원 hsh0330@donga.com 신진우 기자 niceshi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