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한국이 1970~80년대 석유 파동(오일쇼크)에 맞먹는 경제적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박종관 경북대 러시아·유라시아연구소 연구교수는 19일 한국해양전략연구소에 기고한 ‘러·우 사태, 세계경제전쟁의 서막- 한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라는 글에서 이 같이 밝혔다.
박 교수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세계의 대러 경제 제재로 인한 국제 금융, 무역 시스템의 혼란은 물론 석유, 가스, 석탄 등 반도체 공급에 요구되는 원자재, 곡물 가격의 급등과 국제 공급, 수급망의 혼란 등을 초래해 세계 경제의 불안이 가중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에너지 공급량의 93%를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는 1970~1980년대 오일 쇼크(석유 파동)와 맞먹는 충격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 교수는 “이번 사태로 우크라이나의 정치·경제적 붕괴가 초래됐고 특히 미국 중심의 스위프트(SWIFT) 제재 조치 등 대러시아 제재가 시행돼온 상황에서 한·러 수교 이후 30년 이상 공들여 왔던 한국의 대러시아 경협에 현재까지와 다른 광범위하고 매우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고 짚었다.
그는 또 “러시아의 비우호국가에 한국이 포함되면서 러시아 입국 제한 조치는 향후 양국에 대한 장래의 어두운 먹구름을 짙게 한다”며 “만일 입국 제한 조치가 현실화한다면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롯데 등 우리 대기업을 포함한 러시아 진출 기업들의 고충은 더더욱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교수는 그러면서 “우리나라 정부는 물론 기업들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상황을 면밀히 분석해 전망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선제적 대응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며 “이웃 나라 일본이 러 경제 제재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면서도 러시아 극동 지역의 ‘사할린-1’과 ‘사할린-2’ 에너지 개발 사업에서 철수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발표한 점을 신중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