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텍사스주의 기계장비 업체 아테나 매뉴팩처링은 최근 1년 반 사이 주문량이 급증하는데도 구인난이 계속되자 용접 연마 로봇 등 산업용 로봇 7대를 도입했다. 사람이 하면 3시간이 소요되던 용접 연마 작업을 로봇에게 맡겼더니 30분이면 작업이 완료됐다. 존 뉴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로봇은 사람보다 힘이 센 데다 작업을 멈추고 휴식하는 일도 없다”고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심각한 구인난에 시달리는 미국 기업들이 로봇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고 29일 보도했다. 로봇 업계 연합체인 선진자동화협회(A3)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산업용 로봇 주문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급증했다. 임금 인상과 노동력 부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따른 근로자들의 잦은 결근이 로봇에 대한 수요를 키우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미국 제조업체의 인구 대비 로봇 도입률은 한국, 일본, 독일 등 다른 산업 강국보다 낮았다. 상대적으로 인력이 풍부하고 임금 인상률도 안정적이었기 때문이다. 분야도 제한적이어서 단순 반복 업무가 많은 자동차 제조 공장에 산업용 로봇이 집중 배치됐다.
하지만 최근 로봇 사용 업종이 식품 생산과 소비재, 제약 등으로 다양해졌다. 구인난 등으로 산업 전반에 로봇 수요가 늘어난 데다 기술 고도화로 로봇이 더 복잡한 업무를 할 수 있게 되면서 여러 분야에서 로봇 도입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2016년 전체의 71%를 차지하던 자동차 업계의 로봇 주문 비중은 지난해 42%로 급감했다. 일본의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화낙의 미국법인 대표 마이클 치코는 “기업들은 자동화가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든다고 생각했지만 요즘 로봇 사용법이 점점 쉬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트렌드가 결국 사람의 일자리를 빼앗을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다론 아제모을루 매사추세츠공대(MIT) 경제학과 교수는 “공장 자동화는 수년 안에 임금 삭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구인난은 일시적인 현상이지만 자동화가 가속화되면 많은 일자리를 없앨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내일 상하이 봉쇄 푸는 中, 감세-보조금 56조 ‘돈폭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3월 28일부터 경제수도 겸 2대 도시 상하이를 두 달 넘게 봉쇄해 온 중국이 다음 달 1일부터 봉쇄를 전면 해제하기로 했다. 봉쇄 중 큰 타격을 입은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감세, 소비 촉진 등 50개에 달하는 각종 정책도 시행한다. ‘세계의 공장’ 중국의 봉쇄로 큰 타격을 받았던 세계 공급망 교란 상황이 완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30일 중국공산당 기관지 런민일보 등에 따르면 우칭(吳淸) 상하이시 부시장은 29일 ‘경제회복 가속화를 위한 행동방안’을 발표하며 “기업의 업무 재개와 생산을 위한 부당한 제한을 폐지하겠다. 기업 활동을 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당국이 봉쇄 중 특정 기업에만 생산 및 운영을 허용했던 소위 ‘화이트리스트’가 사라진다. 더 이상 조업 재개에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다. 공공장소 출입 및 대중교통 이용 시 제출해야 하는 코로나19 음성 증명서 시한 역시 기존 48시간 이내에서 72시간 이내로 완화한다.
봉쇄 조치로 타격이 컸던 요식업, 관광, 항공, 운송 분야의 각종 세금도 대대적으로 경감해주기로 했다. 영세 자영업자의 사회보험료 납부를 유예하고 전기·수도·가스 요금 등을 3개월간 면제해주는 것이 대표적이다. 고용을 유지하는 기업에 고용지원금도 지급한다.
소비 촉진을 위해 전기차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는 1만 위안(약 186만 원)을 현금으로 보조한다. 집값을 낮추기 위해 억제해 왔던 부동산 거래의 활성화를 위해 주택 매매 과정에서의 각종 번거로운 절차 또한 대폭 간소화할 방침이다. 문화, 관광, 스포츠 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현금성 쿠폰을 지급해 소비를 유도하기로 했다. 경제매체 디이차이징(第一財經)은 이번 조치로 약 3000억 위안(약 56조 원)의 직접 지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상하이 당국의 이번 조치는 25일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경제회복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정책을 다 동원하라”고 지시한 뒤 나왔다. 테슬라, 애플 등 상하이에 본사를 둔 세계적 대기업의 조업 활성화로 공급망 병목 현상 또한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