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플레이션 악화로 경기 침체 그림자도 점점 짙어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이 물가상승세를 잡기 위해 강한 긴축 정책을 도입할 경우 경제활동이 크게 위축되는 ‘경착륙’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다.
12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미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이 경제학자 49명을 설문조사 한 결과 내년 경기 침체가 가시화할 것으로 대부분 예상했다. 응답자 38%는 내년 상반기(1~6월), 30%는 내년 하반기(6~12월)에 경기 침체가 올 것으로 전망했다. 2024년 하반기 이후 침체가 올 것이라는 응답은 21%에 그쳤다. 또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앞으로 기준금리를 어디까지 올릴지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55%가 3~4%를 꼽았다.
앞서 미 CNBC방송이 지난주 주요 기업 최고재무책임자(CFO) 22명을 설문조사했을 때도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응답자 68%는 경기 침체 시기로 2023년 상반기를 꼽았고 뉴욕 증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30,000선 아래로 내려갈 것이라는 응답도 77%나 됐다.
경제 전망을 놓고 경제학 대가들 논쟁도 재연되고 있다. 래리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은 12일 CNN방송에 출연해 “지금처럼 인플레이션이 높고 실업률이 낮은 경우 거의 항상 2년 안에 경기 침체가 찾아왔다”고 경고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연준의 인플레이션 전망은 너무 낙관적인 경향이 있다”면서 “그들이 이 문제의 중대함을 깨닫기 바란다”고 말했다.
빌 클린턴 행정부 재무장관을 지낸 그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경기부양책을 줄곧 비판하는 입장을 취해 왔다. 과도한 돈 풀기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그의 주장은 결국 현실이 됐다. 최근 발표된 미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8.6% 급등하면서 1981년 이후 40여 년 만에 최대 폭 상승 행진을 이어갔다.
그의 이날 발언은 재닛 옐런 재무장관이 최근 경기 침체 가능성을 부정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나왔다. 옐런 장관은 9일 물가상승세가 계속되고 있지만 노동시장과 가계 소비여력은 아직 탄탄하다는 점을 들어 “경기 침체 조짐은 없다”고 단언했다. 이에 서머스 전 장관은 연준의 경기 인식이 여전히 너무 한가하다며 경고장을 날린 것이다. 그는 물가 전망에 대해선 “물가가 더 오를 위험이 있다”며 “아주 빨리 물가가 내려갈 가능성은 적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계속되는 한 바이든 행정부가 휘발유값을 내리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도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벤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이 반격에 나섰다. 버냉키 전 의장은 12일 CNN방송에서 서머스 전 장관 의견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경기 연착륙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 침체가 일어날 수도 있지만 연준은 연착륙을 달성할 가능성이 상당하다”면서 “인플레이션을 줄이면서 경기 침체를 유발하지 않거나 아주 적게만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경제가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과 유사하냐’는 질문에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부인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1970년대에는 13, 14년간 인플레이션이 지속돼 사람들이 매우 익숙해졌고 인플레 기대 심리가 굉장히 커졌다는 점”이라고 했다.
두 사람은 2015년에도 상반된 경기 해법을 주장하며 논쟁을 벌였다. 서머스 전 장관은 당시 “경제가 구조적 장기 침체에 들어갔다”며 재정 지출을 통해 경기를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버냉키 전 의장의 양적 완화 같은 유동성 확대 정책을 비판한 것이다. 이에 버냉키 전 의장은 “돈 풀기 정책으로도 저성장을 극복할 수 있다”고 맞섰다.
연준은 14~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금리 정책을 발표한다. 지난달에 이어 0.5%포인트 금리 인상이 유력한 가운데 빠른 물가 억제를 위해 0.75%포인트 인상이라는 ‘자이언트 스텝’을 내놓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