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와 프랑스 대학의 공동 연구팀이 16세기 이탈리아 왕자의 미라에서 추출한 담석을 통해 대장균의 고대 게놈을 재구성하는 것에 성공했다. 지난 400년 동안 이 악명높은 균이 어떻게 진화해왔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16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캐나다 맥매스터대학 연구진이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파리 시테 대학과 공동연구를 통해 16세기 미라에서 추출한 담석 파편을 이용해 대장균의 첫 고대 게놈을 확인했고 이를 재구성 하는 것에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 학술지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에 게시됐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원들은 매년 전 세계에서 수천 명의 사망자를 내는 대장균이 언제 항생제 내성을 갖게 되었는지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게 할 연구의 ‘비교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 이용된 미라 유골은 1586년 사망 당시 48세였던 조바니 다발로스의 것으로 1983년 나폴리에 위치한 성 도메니코 마조레 성당에서 다른 르네상스 이탈리아 귀족들의 유골들과 함께 발견됐다. 미라의 보존 상태는 상당히 좋은 편이었다.
이번 연구의 수석 저자 중 한 명인 대학원생 조지 롱은 “조바니는 대장균에 의해 담낭에 만성적인 염증을 앓았던 것으로 추정됐다”면서도 “미라가 처음 발견됐을 당시 대장균은 천연두와 같은 질병과 달리 생리적 징표가 남지 않기 때문에 조바니가 대장균을 갖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는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롱은 “대장균은 아주 흔하면서도 복잡한 균”이라며 “연구원들은 오랜 시간 동안 환경 오염으로 부식된 균을 조심스럽게 추출해야 했고 마침내 게놈 재구성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 기회감염병원체를 확인하고 재구성한 게놈의 기능을 깊이 조사할 수 있었다”며 “400년 전 조상의 게놈을 현대 대장균과 비교하면서 그것이 어떻게 진화하고 적응해왔는지 연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대장균은 우리 몸속에도 존재하는 박테리아로 기회감염병원체로서 대부분의 경우 무해하지만 숙주가 스트레스, 기초 질환 등으로 면역력이 결핍되는 경우 심각하고 치명적인 식중독이나 혈류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는 것이 알려지며 ‘슈퍼버그’라고 불리기도 하는 대장균은 그것의 진화 역사와 언제 내성을 얻었는지 등이 과학자들에게 수수께끼였다.
인간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대장균과 같은 공생균으로 인한 사망에 대해서는 기록도 남아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또 다른 알려지지 않은 병원체를 연구하는 다른 과학자들에게도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