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공산당 20차 전국대표회의 내달 16일 개막… 3대 관전포인트
① 시진핑 주석 3연임 유력
② 1970년대생 부상
③ 당대회 주요 의제
시진핑(習近平·69)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 여부와 상무위원 등 차기 지도부를 결정할 중국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가 다음 달 16일 열린다. 시 주석의 3연임이 유력해 그가 내놓을 집권 3기의 청사진과 차기 지도부 구성에 많은 관심이 쏠린다.
시 주석이 이번 당 대회에서 3연임을 확정하면 중화인민공화국을 건립한 마오쩌둥(毛澤東·1949∼1976년 집권) 이후 처음으로 3연임을 하는 지도자가 된다. 그는 2012년 제18차 당 대회에서 당 총서기로 선출됐고 5년 후 제19차 당 대회에서 유임돼 현재까지 10년 동안 당 총서기와 국가주석직을 유지했다.
당 대회가 10월에 열린다는 사실이 그의 3연임 확정을 보여주는 증거라는 해석도 나온다.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 후 전 주석에서 시 주석으로 권력이 이양된 시점의 당 대회는 모두 그해 11월에 개최됐다. 최고 지도자 교체를 포함해 대대적인 인적 개편이 이뤄지면서 당 대회가 늦춰진 것이다. 하지만 기존 지도자의 연임이 결정될 때는 모두 10월에 열렸다.
일각에선 시 주석이 3연임에 이어 종신 집권의 기틀을 마련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홍콩 밍(明)보 등은 중국공산당이 이번에 그에게 ‘인민 영수’라는 칭호를 부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위대한 영수’로 불렸던 마오쩌둥처럼 굳이 공식 직책을 맡지 않더라도 배후에서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로 군림할 발판을 마련하려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오쩌둥의 말이 당의 결정 및 법 위에 군림했듯 시 주석도 강력한 통치력을 유지하려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 상무위원 7인 구성에 주목
중국공산당의 내부 구조는 극단적인 피라미드 형태를 띠고 있다. 지난해 6월 기준 가장 밑바닥에 당원 약 9515만 명이 있다. 이 중 불과 2300여 명이 지역별 대표자로 선출된다. 이들이 5년에 한 번씩 베이징에서 당 대회를 열고 당 중앙위원회 위원 370여 명을 선출한다. 이 중에서 25명의 중앙정치국 위원이 뽑히고, 또 그중에서 7명만이 최고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 자격을 얻는다.
중국은 절대 권력을 휘두른 마오쩌둥 사후 그가 주도한 문화대혁명 같은 폐해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상무위원 중심의 집단 지도 체제를 택했다. 이것이 1인 최고 권력자가 있는 서방 정치 체제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해 왔다.
상무위원 7인 중 국가주석 겸 당 총서기, 국무원 총리 등 2명은 당연직이다. 나머지 인원 및 구성은 유동적이다. 전체 인원도 마오 시절에는 5명이었고 후 전 주석 시절에는 9인이었지만 시 주석이 취임한 후 7명으로 줄여 고정했다. 국가주석과 총리 외에 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대) 상무위원장,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 국무원 부총리, 중앙서기처 서기,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 등이 있다.
시 주석 3연임 여부와 함께 이번 당 대회의 최대 관심사는 현 상무위원 7인 중 시 주석을 제외한 나머지 6명의 거취다. 리커창(李克强·67) 총리, 리잔수(栗戰書·72) 전국인대 상무위원장, 왕양(汪洋·67) 정협 주석, 왕후닝(王호寧·67) 중앙서기처 서기, 자오러지(趙樂際·65)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 한정(韓正·68) 국무원 부총리 중 그간 지도부 교체 시 관례로 적용됐던 ‘칠상팔하(七上八下·67세 이하는 유임, 68세 이상은 퇴진)’를 적용하면 시 주석, 리 위원장, 한 부총리 등 3명이 물러나야 한다. 스스로 칠상팔하 원칙을 무너뜨린 시 주석을 제외하면 두 자리는 확실하게 빈다는 의미다. 이 외 경제 노선을 두고 시 주석과 미묘한 차이를 보여온 리 총리의 퇴진 가능성도 거론된다.
확실하게 비는 두 자리에 차기 지도자 그룹이 등장할 것이 유력하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은 상무위원 입성이 가능한 인물로 후춘화(胡春華·59) 부총리, 천민얼(陳敏爾·62) 충칭시 당 서기, 딩쉐샹(丁薛祥·60) 중앙판공청 주임, 리창(李强·63) 상하이시 당 서기 등을 꼽는다. 모두 현 지도부에 비해 상당히 젊다.
후 부총리는 유력한 총리 후보로 꼽힌다. 그는 후진타오 전 주석, 리커창 총리가 속한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소속이다. 시 주석이 집권 후 공청단을 견제하는 움직임을 보여온 것이 오히려 그의 상무위원 입성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 주석의 3연임에 대한 공청단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서라도 그를 발탁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딩 주임은 시 주석의 확실한 지지를 통해 상무위원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는 시 주석이 상하이 당 서기로 재임하던 시절 비서장을 지냈다. 2013년 중앙판공청 부주임에 발탁되면서 시진핑 정권의 핵심 파워엘리트로 부상했다. 시 주석이 참석하는 거의 모든 행사나 일정은 딩 주임의 손을 거치므로 ‘시진핑의 그림자’로도 불린다.
천 서기는 시 주석이 저장성 당 서기 시절 구축한 인맥 겸 최측근을 일컫는 ‘즈장신쥔(之江新軍)’의 선두 주자로 평가받는다. 5년 전인 19차 당 대회 때부터 상무위원 진입이 점쳐졌던 인물이기도 하다.
리 서기 역시 지금까지 상하이시 당 서기 대부분이 상무위원으로 승격했다는 점, 시 주석의 최측근이라는 점, 경제 분야 전문가라는 점 등을 들어 상무위원 진입 및 상무부총리 임명이 점쳐진다.
하지만 최근 일부에서는 천 서기, 리 서기 등 두 사람의 상무위원 진입은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상하이는 확진자 1명만 나와도 해당 구역 전체를 봉쇄하는 ‘제로(0) 코로나’ 정책으로 올 상반기 두 달간 도시 전체가 전면 봉쇄됐다. 그 과정에서 시민들의 거센 반발이 있었고 최고 책임자인 리 서기 역시 자유롭지 못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천 서기는 중국의 주요 산업지대인 충칭이 올 7, 8월 두 달간 유례없는 폭염과 가뭄으로 공장 가동 중단, 정전 등을 겪으며 민심이 크게 동요하고 있는 점이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 1970년대생 ‘치링허우’ 약진 주목
차차기 최고 지도부가 될 가능성이 높은 중앙위원회 및 정치국 위원의 면면도 관심이다. 특히 시 주석의 종신 집권 가능성이 커지면서 이번 당 대회에서 1970년대에 태어난 사람들을 일컫는 ‘치링허우(七零後)’가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가 나온다. 시 주석이 지난 10년간 손발을 맞췄던 1950, 60년대생 대신 젊은 피를 대거 수혈해 장기 집권에 대한 국민 불만을 누그러뜨리려 한다는 의미다.
중국 인터넷 매체 텅쉰왕 등에 따르면 올 3월 기준 중국 중앙정부와 본토의 31개 성(省)급(베이징 등 4개 직할시 및 성, 자치구) 정부에서 부부장(차관)이나 당 부서기, 직할시 부시장·부성장, 자치구 부주석 등 주요 보직을 맡은 치링허우는 108명에 이른다. 이 중 상당수는 20차 당 대회에서 370여 명을 선출하는 중앙위원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5년 전 19차 당 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된 치링허우가 2명에 불과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중앙위원회 입성이 유력한 치링허우의 선두 주자는 3월 상하이시 당 부서기에 오른 주거위제(諸葛宇傑·51)다. 상하이 출신으로 줄곧 상하이에서 공직 경력을 쌓아왔다. 산둥성 지난시 당 서기인 류창(劉强·51)도 금융 전문가로 주목받고 있다. 농업은행 출신으로 2016∼2018년 중국은행 부행장을 지냈고 최근 지난시 수장이 됐다.
쓰촨성 당 위원회 상무위원 겸 몐양시 당 서기인 차오리쥔(曹立軍·50)도 관심을 받는 인물이다. 1990년대 중반부터 후난성에서 오랜 공직 경력을 거쳐 2020년 쓰촨성 부성장으로 발탁됐고, 이번에 성 당 위원회 상무위원이 됐다.
SCMP는 지방에서 주요 보직을 맡고 있는 108명 모두 대졸이며 94.4%(102명)가 대학원에서 공부했고, 53.7%(58명)는 박사 학위를 받았다고 전했다. 또 미국, 영국 등 유학 경험자도 21.3%(23명)나 된다며 “치링허우는 엘리트 집단 겸 전문가 그룹”이라고 진단했다.
○ 당 대회 주요 의제, 공동부유-대만
이번 당 대회의 주요 의제로 시 주석이 주창한 양극화 해소 전략 ‘공동부유(共同富裕)’가 거론된다. 시 주석은 지난해 8월 이 단어를 처음 언급했다. 급속한 경제 성장의 이면에 존재하는 심각한 빈부격차가 공산당과 자신의 장기 집권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담았다. 하지만 올 들어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잇따른 대도시 봉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세계 경제 둔화 등으로 1분기(1∼3월)와 2분기(4∼6월)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당국의 목표치를 밑돌자 경제에 부담을 주는 공동부유의 속도 또한 조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하지만 이번 당 대회를 통해 공동부유가 다시 국정의 전면에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지난달 30일 당 최고 정책 결정 기구인 정치국 회의는 이번 당 대회의 주요 의제로 ‘전체 인민의 공동부유를 내실 있게 추진’, ‘적극적으로 인류운명공동체 건설 추동’,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전면 추진’ 등을 다루겠다고 예고했다. 시 주석 역시 지난달 공산당 이론지 ‘추스’ 기고를 통해 “공동부유는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본질적 요구이며 그 자체가 사회주의 현대화의 중요 목표”라고 주장했다. 경제 부담에도 공동부유 기조를 고수할 뜻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대만 통일의 당위성도 강조할 것이 유력하다. 지난달 2, 3일 미국 권력서열 3위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이후 시 주석 측은 ‘대만을 해방해 통일 대업을 이루고 미국이라는 강력한 적에 맞서려면 강력한 지도자의 오랜 집권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설파하고 있다.
5년 뒤인 2027년은 인민해방군의 건군 100주년이다. 실제 대만을 통일할 수 있느냐는 차치하고 그런 목표를 향해 나아간다는 인식을 전 국민에게 심어주고 이것을 장기 집권의 도구로 삼겠다는 속내가 역력하다.
양갑용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외교전략연구실 책임연구위원은 3연임을 확정한 시 주석의 최대 의제가 대만 통일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마오쩌둥이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했지만 국공 내전에서 패한 장제스 총통이 대만으로 건너갔기에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은 동시에 중국의 분할을 의미한다”며 “시 주석이 마오쩌둥조차 하지 못했던 대만 병합을 달성한 지도자로 남으려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만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함부로 무력을 쓸 수 없으니 2024년 대만 총통 선거, 2026년 대만 국회의원 선거 등에서 친중 세력이 당선되도록 정보전을 포함한 다양한 하이브리드 전략을 펼칠 것으로 내다봤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연구센터장은 “시 주석은 이미 중국 내부에서도 미중 갈등을 타개할 대표적 인물로 통한다. 그렇기 때문에 집권 3기에도 대외적으로 강경한 노선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며 “한중 관계가 경색될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