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 “평화회담, 영토 보전·피해 보상 먼저…1cm도 안 물러나”

  • 뉴스1
  • 입력 2022년 11월 9일 11시 34분


코멘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영토 복구와 러시아로부터의 보상이 평화회담을 위한 선결 조건으로 내걸면서 우크라이나 군대는 동부 도네츠크 지역의 통제권을 위한 싸움에서 ‘단 1cm’도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화상 연설에서 수도 키이우를 포함한 14개 지역에서 약 400만 명의 사람들이 정전 상태에서 지내고 있지만 비상사태 당시보다는 안정을 취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평균 기온이 최저 영하 20도까지 떨어지는 겨울이 다가오면서 러시아는 미사일과 드론 등을 이용해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인프라 시설들을 타격해 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점령자들은 여전히 높은 수준의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며 “매일 수십 건의 공격이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들은 최근 유별나게 높은 손실을 겪고 있다”면서도 “도네츠크 지역의 행정 경계에서 진격하라는 러시아의 명령은 그대로 유지되는 듯 하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 땅 단 1cm도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도네츠크 공업지대의 분쟁은 바흐무트, 솔레다르, 아브디우크 등에서 이뤄지고 있다.

이 지역은 지난 9월 말 러시아가 자국 영토로 합병됐다고 주장한 곳들 중 하나다. 러시아는 이미 주민투표 이후 자국 영토로 병합한 곳에 대해서는 협상에 나서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이날 평화회담을 위한 선결 조건에 대해 언급한 건, 미국이 우크라이나가 평화회담에 나서도록 격려했다는 워싱턴포스트(WP)의 보도가 있은 후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다시 한 번 영토 보전, 유엔 헌장 존중, 전쟁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한 보상, 모든 전범에 대한 처벌 그리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을 보장해야 한다”고 평화회담에 대한 조건을 명확히 전달했다.

러시아는 지난 한 달 간 수십만 명의 군인들은 징집해 우크라이나 지역을 방어하기 위한 공세를 펴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전쟁 범죄의 한 종류인 ‘강제 추방’이라고 주장하는 방식으로 남부 헤르손 지역으로부터 민간인들을 대피시키고 있다. 다만 러시아는 사람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우크라이나 군은 성명을 통해 러시아가 헤르손의 기반 시설을 계속해서 약탈하고 파괴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성명은 “11월 7일 트럭 호송대가 가전제품과 건축자재를 실은 카코바 소력발전소 댐 위를 지나갔다”며 “베리슬라프 시 인근 지역에서는 러시아군이 송전선을 폭파하고 태양광 발전소에서 장비를 가졌다”고 설명했다.

또 헤르손에서는 러시아군이 초상화와 풍경화로 유명한 예술가 올렉시 쇼브쿠넨코의 작품이 전시된 박물관의 전시품, 가구, 장비 등을 제거했다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러시아 포병대는 헤르손과 미콜라이브 지역의 30개 이상 정착촌을 공격했으며 러시아 점령지인 자포리자 지역에서는 러시아 당국이 우크라이나 문서를 압수한 뒤 주미들에게 러시아 여권을 사용하도록 강요했다고 성명은 덧붙였다.

영국 국방부는 러시아가 통제구역 깊국한 곳에 새로운 방어선을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러시아군이 돌파 당할 경우 우크라이나군의 빠른 진격을 막기 위함이다.

이와는 별개로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주요 항구 3곳에 대한 러시아의 봉쇄를 해제하고 세계적인 식량 위기를 완화하기 위한 ‘흑해 곡물 협정’ 연장을 요구했다.

러시아는 지난 달 말 흑해를 통해 곡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한 곡물 수출협정에서 탈퇴했다. UN과 튀르키예가 중재에 나선 끝에 이달 2일 다시 협정에 복귀했지만, 러시아는 언제든 협정에서 다시 탈퇴할 수 있다는 압박을 계속해서 가하고 있다.

흑해는 세계 최대 밀, 옥수수, 해바라기유 수출국인 우크라이나의 주요 수출통로로 러시아의 탈퇴 선언 이후 곡물가격이 급등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는 또 흑해 곡물 협정이 더 많은 항구와 상품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확대되기를 원하며 협정을 최소 1년간 유지하는 결정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