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와 얼후(二胡ㆍ줄이 두개인 전통 현악기)를 연주하고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을 영어로 줄줄 외던 부잣집 도련님. 톈안먼(天安門) 앞 대학생들을 강경 유혈 진압하는데 묵인하고 개혁·개방의 꽃을 피웠으며 권력의 끈을 끝까지 놓지 않았던 노회한 정치인. 30일 96세를 일기로 사망한 장쩌민(江澤民) 전 중국 국가주석이 걸었던 삶의 궤적이다.
● 클래식에 심취한 양저우의 도련님
장 전 주석은 1926년 8월 17일 양쯔(楊子) 강 하류의 유서 깊은 도시 양저우(楊州)에서 대저택에서 부유한 지식인의 셋째(아들로는 둘째)로 태어났다. 조부 장스시(江石溪)는 학자, 시인, 의사, 음악가이자 상인으로 성공해 큰 부를 이뤘다. 친부 장스쥔(江世俊)은 전기 기술자였지만 많은 글을 썼다. 훗날 장 전 주석이 공학도이면서 인문학에 남다른 조예를 보였던 것도 이 같은 배경 때문이다. 친모 우웨칭(吳月卿)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장 전 주석의 가풍은 사회주의와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삼촌이 1920~1930년대에 혁명 운동을 하다 요절하자 숙모의 양자로 들어가기 했지만 그의 유년기는 서양의 자본주의 문화에 심취했던 때였다.
그는 엘리트 인생을 걸었다. 양저우의 명문 둥관(東關)소학교(현 충화관·瓊花觀소학교)에서 서양 고전음악에 대한 평생의 애정을 갖게 된다. 나중에 “중국인들도 베토벤의 9번 교향곡을 알아야 한다”고 말한 것도 이 때의 경험에 기인한다. 지원자의 10%만 합격한다는 양저우중학교에서는 과학과 동서양 문학에 빠져 들었다.
입학한 해에 중일전쟁(1937년 7월)이 발발해 수업이 중단되기도 했지만 이로 인해 민족주의적 성향을 갖게 된 것 같지도 않다. 장 전 주석은 “그때 일어를 충분히 배우지 못해 아쉽다”고 술회했다. 다만 그는 일본을 이기기 위해 당시에 서양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 나중에 “그때 배운 영어가 지금 대학생들이 배우는 영어보다 낫다”며 자신의 영어 실력에 자신감을 보였다.
장 전 주석은 1943년 난징중앙(南京中央)대 산업기술 및 전기기계 학부에 입학했다. 이 학교는 2년 뒤 자오퉁(交通)대의 충칭(重慶)과 상하이(上海) 교정과 합쳐졌다. 장 전 주석이 상하이에서 뿌리를 내리게 된 건 대학 통폐합으로 이 곳에서 공부하게 된 때문이었다.
● ‘미스터 호랑이 연고’에서 덩샤오핑의 후계자로
대학을 졸업한 1947년 그는 국민당 치하의 상하이에서 미국 회사의 300마력짜리 디젤엔진을 관리하는 직장을 잡게 된다. 미국인과 국민당 상사 밑에서 미래의 공산당 총서기가 일한 것. 1949년 공산당이 상하이를 접수하자 이 회사의 유일한 공산당원이던 그는 회사의 당 지부장이 된다. 이 때 고교시절 애인이던 왕예핑(王冶坪)과 결혼했다.
이듬해 상하이의 영국기업 ‘중국비누공장’으로 배치된 그는 이 곳에서 평생의 은인 왕다오한(王道涵) 당시 동중국산업부 부장을 만난다. 왕 부장은 이후 40년 간 장 전 주석을 후원했다. 산업 기술을 갖고 있는 ‘붉은 전문가’로 인정받은 그는 이후 베이징(北京)으로 차출돼 ‘제1기계제작부’에 배속됐다가 1955년 소련 모스크바의 ‘스탈린 자동차’에서 2년간 연수를 받는 등 국제 감각을 익히게 된다.
1966년 중국 대륙을 휘몰아친 문화혁명은 ‘정치인 장쩌민’을 담금질한 시기였다. 우파 숙청이 시작되자 그는 살아남기 위해 소극적이나마 이에 동참했다. 홍위병의 폭력에 삼촌 한 명이 희생됐지만 그가 1년 정직에 그친 것은 정치적으로 영리해진데다 꼼꼼하게 주변과 연줄을 엮어간 덕분이었다. 문화혁명이 끝나자 그는 ‘57간부학교’ 외교국에 자리를 얻었다. 그의 표현대로 대학 졸업 후부터 기술자로서 살아온 ‘밑바닥 23년’이 끝난 시점이었다. 이후 외교국 부국장과 국장이 돼 본격적인 관료로서의 길을 걸었다.
그는 1980년 국가대외투자관리위원회와 국가수출입관리위원회 부주임이 되면서 차관급으로 올라갔다. 이어 전자공업부 부부장과 부장을 지내는 등 승진 가도를 달렸다. 본격적인 개혁·개방이 시작됐을 때 기술 관료이면서 국제 감각을 갖춘 이는 많지 않았다. 그는 기계, 전자, 전력은 물론 무역까지 다양하게 경력을 쌓았다. 장 전 주석은 당시의 자신이 ‘미스터 호랑이 연고(萬金油)’였다고 회고했다. 특별히 잘 하는 것은 없지만 웬만한 사업에는 모두 관여했기 때문이다.
문화혁명이 장 전 주석에게 위기이자 기회였던 것처럼 1989년 톈안먼 사태 역시 그랬다. 덩샤오핑(鄧小平)은 자신의 후계자 후야오방(胡耀邦)과 자오쯔양(趙紫陽)을 실각시킨 뒤 3세대 후계자를 찾고 있었다. 발탁 조건은 정치적으로는 보수적이면서 경제적으로는 개혁·개방을 계속 밀고 갈 수 있는 인물이었다.
그때 상하이 서기로 있던 장 전 주석이 덩샤오핑의 눈에 들어왔다. 장 전 주석은 그해 4월 후야오방 사망 당시 그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상하이의 진보 주간지 ‘세계경제대보’의 편집인을 해임하며 강경파로 이름을 올렸다. 또 천윈(陳雲) 펑전(彭眞) 등 보수 혁명원로들과 폭넓게 교제했지만 어떤 파벌에도 속하지 않았다. 1989년 6월 24일 장 전 주석은 중국 공산당 제13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3중전회)에서 다른 상무위원 5명과 함께 당 총서기 자격으로 연단에 오름으로써 그의 치세가 시작됨을 세상에 알렸다. 하지만 동시에 덩샤오핑을 대리해 무대에 잠시 나와 있는 임시 지도자라는 시각도 적지 않았다. 장 전 주석은 당시를 회상하며 “마치 절벽 위를 걷는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 임시직 총서기에서 권력의 핵으로
장 전 주석의 권력 승계는 더디지만 착실히 이뤄졌다. 덩샤오핑은 1989년 9월 군대 경험이 없는 장 전 주석에게 자신이 갖고 있는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을 넘겨줬다. 군권은 무장혁명으로 건국한 중국 권력의 정수다. 장 전 주석은 자신의 결점을 메우기 위해 2년 간 100개가량의 사단을 방문했다. 또 국방비를 대폭 늘려 군부의 충성을 유도했다. 중국의 대폭적인 군비 증가는 이처럼 정치권력 내부의 문제와도 연결돼 있다. 장 전 주석은 2002년 후진타오(胡錦濤)에게 주석직을 넘겨주면서도 군사위 주석직은 이후 2년 간 더 쥐고 있을 정도로 군에 대한 애착이 컸다.
장 전 주석은 동유럽 사회주의권의 붕괴를 목도하며 사상적 통제도 강화했다. 그는 1989년 11월 “언론은 부르주아 해방의 발언대가 되선 안 된다”며 언론사 통폐합을 주도했다.
본격적인 권력 장악은 1992년 리펑(李鵬) 총리 등 보수파와 덩샤오핑 간의 힘겨루기를 기점으로 시작됐다. 덩샤오핑은 전면적인 개혁·개방에 반대하는 보수파에 맞서 위해 남부 연안을 순례하며 변화를 촉구하는 남순강화로 최후의 일격을 날렸다. 당시 장 전 주석도 보수파의 공격으로 궁지에 처해있던 시기였다.
장 전 주석은 이어 여전히 군권을 쥐고 있던 군부 강경파 양상쿤(楊尙昆) 양바이빙(楊白氷) 형제를 숙청한 뒤 대대적인 군 인사를 단행했다. 또 1995년 베이징을 장악하며 자신에게 반기를 들던 천시퉁陳希同) 당시 베이징 당서기를 부패 혐의로 사법처리함으로써 지방권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실질적인 힘을 과시했다.
장 전 주석의 집권은 사상 측면에서도 치밀하게 완성돼 갔다. 그는 상하이 푸단(復旦)대의 최연소 신동 교수 왕후닝(王호寧)을 발탁해 아시아 국가의 개발독재 이념을 중국 사회에 주입했다. 애국심 고취, 중앙권력 강화, 당의 재건, 부패 추방 등이 당시에 나온 사상 기조였다. 왕후닝은 장 전 주석에 이어 후진타오, 시진핑(習近平)에 이르기까지 3대째 중국 지도부의 책사로 있다.
장 전 주석이 상하이 서기로 있을 때의 별명은 ‘풍향계’였다. 정치적 시류에 민감하게 반응한 때문이다. 그는 1986년 대학생 시위 때는 후야오방에게서 등을 돌렸고, 1989년 인플레이션 논란 때는 자오쯔양과 결별했다. 하지만 그는 영민한 정치 감각과 자신을 중심으로 한 권력 구축을 통해 상하이방(상하이 출신 관료 모임)을 이끌며 퇴임 이후 2대 정권에 걸쳐 자신의 성을 지키며 현실 정치에 관여해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