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30년까지 지구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개발도상국에 연간 2000억달러(약 260조8000억원) 규모의 재원을 조달한다는 내용의 생물다양성협약이 19일(현지시간) 타결됐다.
AFP통신에 따르면 이날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서 196개 참가국은 2030년까지 전 세계 육지와 바다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해 관리한다는 이른바 ‘30×30’ 계획 등 23개 목표를 세웠다.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과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해 2025년까지 매년 최소 200억달러(약 26조원)를, 2030년까지 매년 최소 300억달러(약 39조원)를 지원한다는 내용도 목표에 포함됐다.
이번 협약은 4년간의 치열한 협상 끝에 맺어졌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우리는 마침내 자연과 평화 협정을 맺었다”며 협약 타결을 환영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도 “파리기후협약을 보완하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세계적인 행동의 토대가 될 것”이라며 반겼다.
미국 또한 협약 타결을 “전환점”이라고 평가하면서 중국이 합의 타결에 큰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 미국은 공화당의 반대로 생물다양성협약의 당사자가 되지 못했지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 협약을 지지하고 미국 자체적으로 30×30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타결까지 잡음이 있었다.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콩고 분지를 보유한 콩고민주공화국은 선진국들이 더 많은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며 협약에 찬성하지 않았으나, 총회 의장이었던 황룬추 중국 생태환경부장(환경부 장관 격)은 아랑곳없이 타결을 발표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다른 개도국도 이런 의사결정 과정에 불만을 드러냈다. 카메룬은 이번 합의가 강행 통과됐다고 지적했고, 우간다 또한 통과 절차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중남미 국가들도 의장의 돌발 타결 선언에 유감을 표명했다.
대기업과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경영과 공급망 등의 차원에서 생물다양성 관련 사항의 보고를 요구하지만 강제성이 없다는 것도 이번 협약의 맹점으로 지목된다.
합의된 내용들이 얼마나 이행될지도 귀추가 주목된다. 로이터통신은 2010년에 채택된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가 시한으로 설정한 2020년이 지난 이후에도 한 건조차 달성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