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전쟁중에 이례적으로 미국을 찾았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지원을 호소하고 공화당을 설득하기 위함인데, 양국이 첨단무기 지원과 평화협상 문제에서 온도차를 보였다.
21일(현지시간)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을 방문해 바이든 대통령과 회담을 나눴다. 이후 미 국회의사당을 방문해 의회 의원들 앞에서 우크라이나를 지원해 온 미국에 감사의 뜻을 표하고 초당적 안보 지원을 요청하는 연설을 진행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담이 끝난 뒤 진행된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용감한 우크라이나 국민들이 러시아의 침략으로부터 그들의 나라를 계속해서 방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면서 18억5000만 달러(약 2조3700억원) 규모의 추가 군사지원 방침을 밝혔다.
이번 지원에는 패트리엇 미사일 포대가 포함될 방침이다. 미 국방부는 우크라이나에 첨단지대공미사일 시스템 나삼스(NASAMS)를 지원한 바 있는데, 현재 나삼스 재고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패트리엇 방공 시스템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다만 미국의 패트리엇 미사일을 비롯한 추가 지원에도 불구하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더 많은 지원을 요구했다. 그는 “우리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패트리엇을 더 많이 얻고 싶다는 또 다른 신호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고,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미안하다. 정말 미안하다”며 난감해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 영토 내 목표물 타격이 가능한 미사일을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을 받자 “그런 무기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유럽연합(EU)의 단결을 깨뜨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회담 뒤 의회 연설에서도 “우리에게는 포(artillery)가 있다. 매우 고마운 일”이라면서도 “그것이 충분한지 묻는다면 솔직히 말해 그렇지 않다”고 재차 언급했다.
우크라이나는 이번 방문으로 국면 전환이 가능할 정도의 추가 무기를 확보하긴 했지만, 당초 우크라이나 측이 원했던 지원에는 크게 못 미친다는 평가도 이어진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방미에 앞서 미카일로 포돌랴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보좌관은 자신의 트위터에 ‘나의 크리스마스 위시리스트’라는 멘트와 함께 각종 군수 용품을 목록을 올렸다. 포돌랴크 보좌관이 올린 5개의 목록 중 바이든 행정부가 지원 의사를 밝힌 품목은 패트리엇 방공 시스템뿐이다.
양국은 평화협상 문제에서도 이견을 보였다. 지난 2월24일 시작한 우크라이나 전쟁이 10개월째 접어들며 백악관 등에서는 평화협상 논의가 조심스레 제기돼 왔다.
바이든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언급하며 “푸틴은 이 잔인한 전쟁을 멈출 의사가 없지만, 당신(젤렌스키 대통령)은 ‘정의로운 평화(just peace)’를 추구할 용의가 있다”고 치켜세웠다.
바이든 대통령은 정의로운 평화가 무엇인지, 이를 이룩하기 위해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등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평화를 위해 우크라이나 영토를 내줄 수는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정의로운 평화는 주권, 자유, 영토 보전에 대한 타협이 아니다”라며 “(평화를 위해서 필요한 건) 러시아의 침략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한 보복(payback)”이라며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강요받은 전쟁에 정의로운 평화는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평화협상과 관련해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해왔다. 미국은 러시아가 미래에 다른 전쟁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러시아를 약화시키는 쪽으로 전쟁을 최대한 빨리 마무리 짓고 싶어 한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의 대화 자체에 불신이 크다. 지난 2014~2015년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잦은 분쟁을 억제하기 위해 이해 당사자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유럽 안보 협력기구(OSCE)의 중재 아래 ‘민스크 협정’을 체결했지만, 협정 체결 2주도 채 되지 않아 충돌이 발생하며 협정은 유명무실해졌기 때문이다.
이듬해 독일, 프랑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 대표들이 ‘민스크 협정2’에 합의했으나, 이 역시 이해 당사자들이 이견을 보이며 주요 조치들은 거의 이행되지 않았다.
이처럼 러시아에게 ‘뒤통수’를 맞아온 우크라이나는 점령지 반환, 러시아의 전쟁 배상금 지급, 전쟁범죄 처벌 등 러시아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을 조건으로 내걸며 협상 거부를 시사했다.
여기에 전쟁 당사국인 러시아까지 가세하면 셈법은 더욱 복잡해진다. 러시아가 겨울철 추위를 무기 삼아 우크라이나를 황폐화한 뒤 내년 초 전력을 동원해 전세 역전을 노리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