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강제동원 해법 발표 한 시간여 만에 이례적 환영 성명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3월 6일 15시 11분


AP 뉴시스
AP 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5일(현지 시간) 한국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해법 발표에 대해 성명을 내고 “미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 간 협력의 획기적인(groundbreaking)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환영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성명은 박진 외교부 장관의 발표 종료 뒤 한 시간여 만에 나온 것으로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바이든 행정부는 그동안 한미 과거사 문제에 대한 입장 표명을 자제해왔다.

바이든 대통령은 성명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한국과 일본 국민들의 더욱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으며, 보다 번영하는 양국의 미래를 만들기 위한 중차대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고 했다. 이어 “미국은 한일 지도자들이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을 지원할 것”이라며 “이 방안이 현실화되면,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에 대한 우리의 공유된 비전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앞으로 한미일 3국 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증진시키길 기대한다”며 “오늘의 발표가 상기시키듯 우리는 함께 설 때 더 강해지고 세계는 더 안전하고 번영할 것”이라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강제징용 배상 해법 발표에 즉각적으로 이례적인 수준의 환영 메시지를 낸 것은 한일 관계 회복이 북한과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축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해 2월 발표한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한일 관계 회복을 통한 한미일 3각 협력 강화를 24개월 내에 달성해야 할 핵심 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2024년 대선 캠페인을 본격화하기 전인 올 상반기 윤 대통령 국빈 초청을 통한 한미 정상회담과 호주에서 열릴 ‘쿼드(Quad)’ 정상회의, 일본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중국 견제를 위한 안보·경제 합의를 진전시킨다는 구상이다. 이런 가운데 한일 강제징용 문제가 해결의 실마리를 보이면서 한미일 3각 협력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도 바이든 대통령에 이어 별도의 성명을 내고 “한국과 일본 정부의 역사적인 발표를 환영한다”며 “미국은 가장 중요한 동맹국인 한일관계 진전을 위한 발표에 고무됐다”고 밝혔다. 이어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한일 정부의 용기와 비전에 박수를 보내며 국제사회가 이 중대한 성과에 대한 우리의 성원에 동참하길 촉구한다”고 했다.

블링컨 장관은 이어 “한미일 3국 관계는 인도태평양 비전의 핵심”이라며 “우리는 세계 평화와 안보를 진전시키기 위해 정기적인 3자 대화를 포함해 한일과 계속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
    67
  • 슬퍼요
    2
  • 화나요
    5

댓글 16

추천 많은 댓글

  • 2023-03-06 16:13:05

    대한민국을 건국하고 75년이 흘렀는데 아직도 무능하고 무지해서 나라 팔아먹고 지넘들 호의호식한 조선 전주이씨의 백성으로 사는 것들이 많네... 한심한. 동족의 가슴에 총부리를 겨눈것들은 돌아서서 잘 잊어버리고 지들이 살지도 않았던 식민지 시절을 들쳐내서 국민을 니편내편으로 나누고 지넘들 정치적 이익만 챙긴 한심한 것들이 아직도 부끄러운줄 모리고 나대네. 미국이 없었으면 한국의 독립도 없었다.

  • 2023-03-06 16:22:27

    일본보다 약한국가가 아니다 동등하게나가고 반도국가의큰자존심이 속좁은섬나라 좀봐주는거 인자는 괜찮다 서로상생하는거다 우린 좀만있으면 세계빅5다

  • 2023-03-06 16:32:29

    "한미 과거사 문제 " ? 제발 검수 좀 하고 오타 내지마라.. 그리고 미쿡 바이든아... 반도체 문제로 우니라라 기업 옥죄지 좀 마라. 그건 깡패짓거리지.,.,.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67
  • 슬퍼요
    2
  • 화나요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