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SVB 파산 후폭풍]국내 금융기관 영향은
시중은행 자금 이탈 가능성 낮아
정부 ‘특화 은행’ 동력은 약화될듯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로 한국 금융기관의 건전성에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단 금융권에서는 국내 시중은행의 자산 구조가 양호하고 고객 자금이 이탈할 가능성도 낮기 때문에 SVB와 같은 극단적인 사례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자산이 많이 쏠려 있는 저축은행 등은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7∼9월) 기준 국내 시중은행 5곳(신한·KB국민·우리·하나·NH농협)의 평균 여수신 비율은 95.1%였다. 여수신 비율은 수신 대비 여신이 차지하는 비율로, 여수신 비율이 높다는 것은 고객에게 받은 예금을 대출을 통해 안정적으로 굴리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국내 은행은 이처럼 여수신 비율이 높은 반면에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 비율은 총자산 대비 16.9%로 낮은 편이다. 금리 인상이나 증시 급락 등 금융시장 상황이 급변하더라도 크게 손실을 볼 위험은 상대적으로 작은 셈이다. 그러나 국내 은행과 반대로 SVB는 여수신 비율이 지난해 말 기준 42.5%에 불과했고 채권 투자 비중은 총 자산 대비 55%나 됐다. 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국내 은행은 자산 구조상 대규모 유가증권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
인터넷은행에서 고객의 뭉칫돈이 계좌에서 빠져나가는 ‘뱅크런’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지 않다. 금감원이 SVB 파산 직후 해당 리스크를 점검한 결과, 국내 인터넷은행의 1인당 평균 예금액은 200만 원대에 불과했다. 다만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축은행은 부동산 PF 대출 등에 수익 구조가 치우쳐 있어 향후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길어질 경우 건전성이 악화될 우려가 크다. 지난해 말 기준 자산 규모 5대 저축은행(SBI·OK·웰컴·한국투자·페퍼)의 PF 대출 잔액은 2조629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급증했다.
시중은행의 과점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소규모 특화 은행을 도입하려 했던 금융당국의 추진력도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SVB를 특화 은행 도입을 위한 해외 참조 사례로 검토했지만 SVB가 파산하면서 중소형 은행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당국 내에서도 “특정 부문에 대출이 집중된 은행은 건전성 충격을 다른 분야 여신으로 흡수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