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점유율 4년만에 3분의 1토막
대만, 빈자리 꿰차며 19.2% ‘1위’
베트남 7.3%P 올라 점유율 9.8%
한국은 1.8%P 늘어나는데 그쳐
미국-중국 통상 갈등 이후 미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중국 점유율이 줄어들며 대만과 베트남이 가장 큰 수혜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쳐 대만과 한국의 점유율 격차는 계속 벌어지는 추세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미중 통상 갈등이 본격화된 2018년 이후 미 반도체 수입시장의 주요국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중국은 11.7%로 2018년(30.2%)보다 18.5%포인트 줄었다고 밝혔다. 4년 만에 중국 점유율이 3분의 1로 줄어든 셈이다. 중국의 점유율 하락은 반도체뿐 아니라 태양광 모듈 분야 미 수출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국가별 순위에서도 2000년대에 점유율 1위를 줄곧 유지했지만 지난해 4위까지 떨어졌다. 분석에서 반도체 품목은 국제 품목분류 체계인 HS 6단위 기준으로 D램 모듈 등 컴퓨터 부품이나 전자집적회로, 태양광 모듈 등을 포함한다.
이는 미 정부가 국가안보와 자국 공급망 강화 정책을 내세우며 중국 기업의 수출 제한 등 규제를 단행했기 때문이다. 2018년 3차례 걸쳐 10∼25% 추가 관세를 부과했고, 같은 시기 미국산 기술이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이용해 만든 부품과 장비의 대중 수출 제한을 실시했다.
이로 인해 중국 기업들은 반도체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8년 중국 D램 제조 기업 푸젠진화가 미국의 제재로 장비 구입이 어려워져 이듬해 양산 목표를 접고 사업을 잠정 중단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지난해에는 낸드플래시 제조사 YMTC가 장비 구입이 어려워져 중국산 장비로 첨단 3D 낸드플래시 생산을 대체하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
중국이 뺏긴 시장은 대만이 가장 크게 가져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대만 점유율은 19.2%로 2018년(9.5%)보다 약 2배로 늘었다. 점유율 순위도 4위에서 1위로 올라섰다. 베트남은 점유율이 2018년 2.5%에서 지난해 9.8%까지 올랐다. 4년 만에 8위에서 5위로 세 계단 뛰었다.
반면 한국의 점유율은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22년 12.6%로 2018년(10.8%)보다 1.8%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국의 점유율 순위는 2018년, 2022년 모두 3위를 유지했다. 대만과 한국의 점유율 격차는 점차 벌어지는 추세다. 2020년에는 한국이 대만보다 0.1%포인트 높았는데, 2021년 대만이 4.1%포인트 앞서갔고 지난해에는 6.6%포인트까지 벌어졌다.
대만과 베트남의 점유율 확대는 미 반도체 최대 수입품목(33.4%)인 D램 모듈 등 ‘컴퓨터 등 부품’ 품목에서 중국 입지 약화의 반사이익을 누렸기 때문이다. 컴퓨터 등 부품 품목 분야 미국의 대중 수입액은 2018년과 비교해 지난해 58% 감소했다. 반면 대만은 327%, 베트남은 4038%가 늘어났다. 한국은 52% 증가하며 대만과 베트남에 비해 수입액 증가 폭이 작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한국이 최대 수혜국이 될 수 있도록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