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반도체 갈등]
반도체법 이후 美에 262조원 몰려
日-EU도 첨단제품 시설 유치
“안보 핵심” 中겨냥한 디리스킹… ‘中수출 많은 한국엔 부담’ 분석도
“실리콘밸리에 실리콘이 돌아왔다.”
22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서 열린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투자 발표 행사는 축제 분위기 속에 열렸다. 반도체 탄생지인 실리콘밸리에 30년 만의 대규모 반도체 투자가 이뤄진 것이다. 이날 세계 1위 미 반도체 장비 기업 AMAT는 이 지역에 40억 달러(약 5조3000억 원)를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시설을 짓는다고 밝혔다. 행사에 참석한 카멀라 해리스 미 부통령은 “미국에서 반도체를 만드는 것은 핵심 안보 문제”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8월 미 반도체지원법 시행 이후 미국에는 세계에서 약 2000억 달러(약 262조 원) 규모의 반도체 투자가 몰렸다. 일본은 최근 20조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고, 독일 등 유럽연합(EU) 국가들도 대만 TSMC, 미 인텔 등에서 수십조 원 투자를 기대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디리스킹(derisking·탈위험)에 나선 서방이 ‘반도체 블록’을 강화하는 모양새다.
● 美日獨 보조금 위에 ‘반도체 블록’
그동안 반도체 제조 일선에서 밀려나 있던 미국 일본 EU는 내년부터 첨단 반도체를 본격적으로 생산한다. 삼성전자가 170억 달러(약 23조 원)를 투자한 미 텍사스 테일러 공장이나 TSMC가 400억 달러(약 53조 원)를 들인 미 애리조나 1공장 모두 내년 가동을 앞뒀다.
인텔은 향후 10년간 유럽에 880억 달러(약 115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고, TSMC는 독일 인피니온 등과 손잡고 유럽에 1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고민 중이라고 외신이 보도했다. TSMC는 일본에도 첨단 반도체 생산 2공장 건설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일본 유럽에 첨단 반도체 생산 시설이 부족했던 가장 큰 이유는 비용이었다. 숙련된 인재 부족이나 협력사 부재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미국 70조 원, EU 63조 원 등 전례 없는 반도체 보조금이 투자의 강력한 유인책이 됐다. 실리콘밸리의 반도체 투자 복귀도 이 보조금 덕이 컸다.
서방의 반도체 보조금 지급 명분은 역시 ‘중국 리스크’다. 대만 반도체 산업이 중국에 볼모로 잡힐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며 서방 블록에 첨단 반도체 공장이 있어야 한다는 경각심이 커진 것이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대만의 지정학적 위험’을 근거로 TSMC 지분을 매각하는 등 우려가 커지자 TSMC가 미국 일본 독일 등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형국이다. 위험을 분산시키는 이른바 디리스킹을 추구하는 것이다.
● ‘中리스크 줄이자’ 디리스킹 공동 대응
서방 중심 ‘반도체 블록’은 중국 디리스킹을 위해 공동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 히로시마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마이크론은 일본에 5조 원 규모의 투자를 밝힌 데 이어 일본 주요 대학들과 인재 양성 협약을 맺었다. 또 인텔은 모바일 두뇌(AP)를 이끄는 영국 ARM과 지난달 전략적 동맹을 맺었다.
서방은 미국의 중국 반도체 제재에도 적극 동참하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2일 중국이 마이크론 판매 금지 조치로 사실상 미국에 경제 보복을 가한 가운데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일본의 수출 규제를 두려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FT는 “첨단 반도체 중심 규제에 나선 미국보다 반도체 핵심 소재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식 수출 규제가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이 최대 반도체 수출 시장인 한국으로서는 이 같은 대(對)중국 서방 반도체 블록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반도체 강국) 한국과 대만에서는 언제든 긴장감이 고조될 수 있다”고 언급하는 등 한국을 지정학적 위험 지역으로 보는 시선이 많아 해외 투자 유치도 녹록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