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일본 도쿄 증권사 증시 전광판 앞을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일본 정부는 경제 부문 여성 활약 촉진 방안을 조만간 마련할 방침이다. 도쿄=AP 뉴시스
일본 정부가 주요 대기업 여성 임원을 2025년까지 최소 1명 이상, 2030년까지 30% 이상 두도록 하는 정책 목표를 세울 방침으로 알려졌다.
5일 일본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여성 활력 촉진 경제 정책’을 조만간 발표한다. 일본 정부는 도쿄증권거래소 상장사에 적용되는 규칙을 개정해 주요 기업 여성 임원 비율 확대를 촉진할 방침이다.
일본 총리 직속 내각부에 따르면 일본 전체 상장사 여성 임원은 2012년 630명에서 2022년 3654명으로 10년 새 6배 가까이로 늘었다. 하지만 상장사 전체 임원 대비 여성 임원 비중은 9.1%, MSCI 국제 지수에 들어가는 주요 대기업 여성 임원 비중은 15.5%에 그치고 있다. 이는 프랑스(45.2%) 영국(40.9%) 미국(31.3%) 같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주요국 대기업 여성 임원 비율 (단위: %)
국가명
비율
프랑스
45.2
영국
40.9
미국
31.3
일본
15.5
한국
12.8
※MSCI 국제지수 종목 기준. 유럽은 각국 50대 대기업 기준(2022년). 자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일본 정부는 내각부에 ‘남녀 공동 참가국(局)’을 두고 기업 남녀 차별 해소를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내각부 홈페이지에 여성 임원 비중이 높은 기업을 공개하며 여성 임원 확대를 독려하고 있다.
대기업 중에서는 통신기기 업체 유니덴홀딩스(여성 임원 비율 60%) 편의점 기업 로손(50%) 화장품 업체 시세이도(46.2%) 유통 대기업 이온몰(35.3%) 등의 여성 임원 비중이 크다. 하지만 거래소 상장 대기업 20%에는 여성 임원이 1명도 없을 정도로 ‘유리 천장’이 존재한다.
일본 정부는 또 남녀 임금 격차 정보 공개 대상 기업을 현재 ‘근로자 301명 이상 고용 기업’에서 ‘근로자 101명 이상 고용 기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