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제1원전 르포]
사고 원자로 인근 방사능 위험 수준… 오염수 1000t 담은 탱크 1000여기
“어떤 나라에도 영향 없을것” 주장… 韓등 반발 여론에도 내달 시작할듯
후쿠시마=이상훈 특파원 “(오염수 방류 관련) 절차는 모두 끝난 상황입니다. 일본 정부가 방류 시기를 결정할 것입니다.”
21일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한국 등 해외 취재진과 만난 마쓰모토 준이치 도쿄전력 이사는 오염수 방류 준비와 관련해 이렇게 말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오염수 방류 준비를 마친 뒤 처음으로 동아일보를 비롯한 해외 언론에 원전 내부를 공개했다. 도쿄전력 측은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 정화 장치, 바닷물 희석 등을 통해 오염수 방류가 안전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원전 내부를 돌아보니 2011년 수소 폭발 사고가 일어난 원자로 건물 인근에서는 지금도 방사능 수치가 외부의 수십∼수백 배에 달했다. 사고 당시 원자로 지하로 녹아내린 핵연료 제거 등은 아직 시작도 못 하고 있었다.
● “이상 발견 시 10초 내 방류 중단”
원전에 도착한 취재진은 신분 확인 후 방사선 측정용 선량계를 착용하고 신체 피폭량을 측정했다. 원전에 들어가기 전과 나온 뒤 몸 안의 방사성 물질량을 비교 점검하기 위해서다.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소매, 반바지는 착용이 금지됐다.
도쿄전력 측은 이날 80μSv(마이크로시버트) 이상 피폭이 확인되면 취재를 중단시키겠다고 밝혔다. 일본 도쿄와 미국 뉴욕을 비행기로 오갈 때 자연적으로 받는 피폭량이 100μSv 수준이라며 안전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버스를 타고 원전 내부로 들어가자 거대한 원통 모양의 물탱크가 가득했다. ALPS 처리를 마친 오염수 탱크였다. 오염수 1000t가량이 담긴 높이 15m의 탱크가 후쿠시마 원전에 1000기 넘게 있다. 원전 부지 포화로 더 이상 내부에 탱크를 설치할 수 없는 데다 지진, 해일 발생 시 무방비로 바다로 흘러갈 수 있어 오염수를 계획적으로 조금씩 방류해야 안전하다는 게 일본 정부의 주장이다.
오염수가 방류될 해안가에 거대한 하늘색 배관도 눈에 띄었다. 지름 2.2m로 오염수에 희석할 바닷물을 끌어오는 시설이다. 정화 처리를 마친 오염수는 삼중수소 농도가 1L당 1500Bq(베크렐) 미만이 되도록 오염수의 100배 이상 바닷물로 충분히 희석해 바다로 보내진다고 도쿄전력 측은 강조했다. 또 “하루 최대 500t까지만 방류하기 때문에 지름 10cm 배관이면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취재를 안내한 도쿄전력의 담당자는 설비의 안전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오염수를 바닷물에 희석하기 전에 분석해 방사성 물질 농도 등에 이상이 감지될 경우 2개의 긴급 차단 밸브를 통해 10초 안에 방류를 중단한다”고 말했다.
● 현장 인근 방사능 농도는 아직 ‘위험’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방류 설비 공개 도쿄전력이 21일 동아일보 등 해외 언론 기자들에게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 방류를 위한 설비를 공개했다. 사진은 폐로를 추진
중인 원전 1∼4호기의 모습.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과 지진해일(쓰나미)로 지붕이 날아가고 내부가 부서진 채 철골이 드러난
모습이 여전하다. 후쿠시마공동취재단방류 설비 옆에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으로 폭발한 1∼4호기 원자로 건물이 있다. 사고 12년이 지난 지금도 앙상하게 남은 철골, 부서진 내부 건물 등이 사고 당시의 참혹함을 짐작하게 했다.
사고 현장을 볼 수 있는 전망대는 원자로 건물에서 약 80m 떨어져 있다. 원전 입구에서 시간당 0.1∼1μSv였던 방사선량은 이곳에 도착하니 시간당 61μSv까지 높아져 사람이 오래 머물 수 없었다. 핵연료가 녹아내린 원자로 내부 바닥 근처에서도 인체에 치명적인 수준의 방사능 때문에 로봇이 작업을 하고 있다.
도쿄전력 측은 “권위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분석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했다”며 한국 등 해외 취재진에 이 시설을 공개한 것 또한 안전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방류 시 어느 나라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지를 묻자 이 담당자는 “원전 10km 밖에서부터는 무시할 만한 수준”이라며 어떤 나라에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일본 정부가 “올여름 방류 계획에 변함이 없다”고 거듭 밝히면서 한국을 비롯한 인접국들의 반발 여론에도 다음 달에는 오염수의 해양 방류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방류하는 희석된 "ALPS 처리수 "의 방사선 농도는 1L당 1,500Bq이며, 1년간 방류하는 방사선량은 22조Bq 미만이다. 한편 한국의 5개 원전시설에서 방류하는 '오염수'의 방사선 농도는 1L당 40,000Bq이다. 또 1년간 방출하는 "오염수 "의 방사선량은 액체와 기체를 합쳐 350조Bq 이상이다. 한국의 정상적인 언론이, 국내 현황에 비해 보도하면 특정 정치세력이나 특정 언론에 의한 자의적으로 국민의 불안을 증대하는 주장은 자연스럽게 사라져 없어질 것이다.
2023-07-24 12:26:08
당연히 오염 처리수의 방류는 폐 핵연료의 회수와 환경처리가 끝날 때까지 수 십년 간 지속될 일이다. 안심되는가?
2023-07-24 12:17:30
멜트다운 폐 핵연료가 계속 오염수를 만드는 상황이 조금도 해결될 전망이 없다. 그 오염 처리수가 안전하다 안심하라고 얘기하는게 설득력이 있는가? 오염 원천이 제거되지 않고 있는데?
2023-07-24 10:34:50
괴죄명선전당 년놈들 오염수 약발 다 떨어져서 지금은 양평 진흙탕에 푹 빠져서 빼박 신세니까 즉시 방류하거라.
2023-07-24 08:21:57
-방류해서 생기는 모든 문제에 책임을 다 지도록하고, 또 피해 발생시 기시다는 할복하겠습니다- 이 말만 하면 주변국들이 다 수긍을 할텐데 절대 안하지, 왜? 후달리기 때문인거다. 쥬라기공원의 교훈을 봐라, 자연은 사람뜻대로 되지 않는다. 섣부르게 과학 운운하는 사람이 1차 사망각이다.
2023-07-24 06:33:19
중국에서 서해로 마구 버리는 방사능 오염수와는 달리 정화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는 오염수가 아니라 정화수다. 명칭부터 바꾸어야 하며 지금은 우리 먹거리 창고인 서해에다 마구 버리는 중국의 정화되지 않은 방사능 오염수와 15억 똥물을 걱정할 때이다.
댓글 6
추천 많은 댓글
2023-07-24 06:33:19
중국에서 서해로 마구 버리는 방사능 오염수와는 달리 정화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는 오염수가 아니라 정화수다. 명칭부터 바꾸어야 하며 지금은 우리 먹거리 창고인 서해에다 마구 버리는 중국의 정화되지 않은 방사능 오염수와 15억 똥물을 걱정할 때이다.
2023-07-24 12:17:30
멜트다운 폐 핵연료가 계속 오염수를 만드는 상황이 조금도 해결될 전망이 없다. 그 오염 처리수가 안전하다 안심하라고 얘기하는게 설득력이 있는가? 오염 원천이 제거되지 않고 있는데?
2023-07-24 10:34:50
괴죄명선전당 년놈들 오염수 약발 다 떨어져서 지금은 양평 진흙탕에 푹 빠져서 빼박 신세니까 즉시 방류하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