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를 두고 일본 언론들은 일본과의 협력 강화 의향을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16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윤 대통령이 전날 광복절 경축사에서 강제징용,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역사 문제를 거론하지 않고 “일본은 이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파트너”라고 했다고 짚었다.
닛케이는 일본 유엔 후방기지와 관련 윤 대통령이 “일본이 유엔사령부에 제공하는 7곳 후방 기지의 역할은 북한의 남침을 차단하는 최대 억제 요인”이라고 언급한 데 대해 “일본과의 안보 협력 중요성을 호소했다”고 진단했다.
요미우리신문도 윤 대통령이 경축사에서 “일본과의 파트너십을 강조”했다고 평가했다.
요미우리는 윤 대통령이 “전 징용공(강제징용 피해자), 일본군 위안부 등 역사 문제 언급이 없었으며, 일본의 책임을 촉구해온 역대 (한국) 대통령 광복절 연설과 차이가 두드러졌다”고 풀이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윤 대통령이 경축사에서 북한과의 “대결 자세를 선명하게 보였다. 일본에 대한 비판적인 발언은 없었다”고 전했다.
특히 마이니치는 일본 정권 관계자를 인용, 이번 경축사는 역사 문제 등 일본에 대한 비판이 없는 “이례적 연설”이라고 전했다.
마이니치는 윤 대통령이 “일한(한일) 관계가 정상 궤도로 돌아온 것을 거론하며 ‘안보와 경제 협력 파트너’라고 미래지향 관계를 전면에 내세웠다”고 분석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한미일 3개국 협력 관계를 미국·호주·인도·일본 협력 틀인 쿼드와 나란히 할 수 있는 것으로 격상하고 싶은 생각”이라고 마이니치에 밝혔다.
아사히신문은 윤 대통령이 경축사에서 “핵·미사일 개발을 가속화하는 북한을 비하고, 18일 한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미국과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고 풀이했다.
아사히는 “일본에 대해서는 작년과 같이 비판적인 발언은 없다”면서 “더욱 관계 발전을 하려고 의욕을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아사히는 이날 “일본과 한국, 퇴보하지 않기 위한 노력을” 제하의 사설을 내고 윤 대통령의 경축사와 관련 “이번에야 말로 일한(한일) 관계 개선 발걸음이 (관계 정상화)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다고 기대하고 싶다”고 했다.
아사히는 윤 대통령이 지난 3월 강제징용 해결책을 내놓은 후 한일 관계가 개선으로 돌아섰다며 “환영해야 할 움직임이지만 한편으로는 왜 거기까지 관계가 악화됐었는지, 쌍방 솔직하게 돌아보고 퇴보하지 않기 위한 교훈을 헤아리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사히는 “일본 측에게는 내년 봄 총선과 4년 후 대통령 선거 등 한국 정치 정세에 따라 대일 정책이 다시 바뀌는 게 아니냐는 불신이 있다”며 “실제로 윤 정권 지지율은 높다고 할 수 없다. 한국 정부 산하 재단이 배상금을 대신 내주겠다는 징용공 해결책도 한국에서는 비판이 뿌리깊다”고 우려했다.
신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이 역사문제에서 과거를 진지하게 마주하는 자세를 나타내고 도쿄전력 후쿠시마(福島) 제1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문제 등에서 정중한 설명을 다하는 등 한국 여론에 대해 성의 있는 대응을 빼놓을 수 없다”고 일본 측의 대응을 촉구했다.
산케이신문도 윤 대통령이 경축사에서 일본과 “안보, 경제 면에서 협력 강화를 추진할 의향을 거듭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