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치솟던 인플레이션이 나라마다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물가가 둔화되고, 유럽에서는 치솟는 등 ‘인플레이션 다이버전스(divergence·차이)’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4일 에너지 가격 상승 여파와 임금 인상 압력 수용 여부에 따라 세계 각국의 인플레이션 방향성에 차이가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까지 우크라이나 전쟁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공급망 병목 현상으로 미국, 유럽, 아시아 전역에서 40여년 만에 고물가 현상이 나타난 것과 대비되는 것이다.
미국은 지난해 6월 9.1%까지 치솟았던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이 7월 3.2%까지 내려갔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 상승률도 한때 6%를 육박하다 최근 4%대로 내려앉았다. 반면 7월 영국 근원 CPI 상승률은 6.9%로 지속적인 상승 추세에 있다. 유로존도 지난해 1월 2.3%에서 올해 7월 5.5%까지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유럽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폭염이 겹쳤고, 천연가스 가격까지 상승해 여전히 에너지 위기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노조의 힘이 강한 영국 등에선 높은 임금 인상률도 한몫하고 있다.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인플레이션 추세에서 멀어지는 현상은 각국 통화정책 당국자들을 고민에 빠뜨리고 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지난달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세계 각국이 인플레와 동일하게 싸운 이후 현재는 국가별로 통화정책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미국은 ‘금리 정점론’에 힘이 실리고 있지만 유럽은 물가 안정을 위한 금리 추가 상승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은 경제 위기론 속에 금리 인하 압박이 높아지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