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화약고’ 중동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전쟁이 발발한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갈등, 아프리카 국가의 잇단 쿠데타, 중국과 대만 갈등, 중국과 인도의 국경 분쟁 등으로 전 세계가 상시 분쟁 지대가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이 급부상하고 미국은 이런 중국 견제에 치중하는 데다, 러시아가 옛 소련권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는 등 주요 강대국의 역학관계 변화가 이런 ‘분쟁 도미노’를 가속화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미국은 ‘아시아로의 전환(pivot to Asia)’을 외친 버락 오바마 행정부 이후 조 바이든 현 행정부까지 중국을 유일한 경쟁자로 지목하며 중동 등 세계 각국의 분쟁에 대한 개입을 줄여왔다.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잇따른 실패로 미 여론이 악화하자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하는 경향이 커졌고 중국 견제만으로도 바빴던 탓이다.
이로 인해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튀르키예(터키) 등 중동 주요국은 미국이 없는 중동에서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올 들어 니제르, 가봉 등 아프리카 주요국에서 잇따라 쿠데타가 발생한 것 또한 이 지역에 대한 미국, 프랑스 등 서방 주요국의 영향력이 줄고 중국과 러시아의 입김이 강해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들은 대부분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였고 독립 후 미국과 가까웠으나 ‘차이나머니’를 앞세운 중국, 군경을 대신해 치안을 유지해주는 러시아와 급속히 가까워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우크라이나 침공 후 서방의 전방위 제재에 직면한 러시아는 옛 소련 국가의 갈등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아제르바이잔은 자국 영토이나 그간 아르메니아가 실효 지배했던 나고르노카라바흐를 점령했다. 이곳에 평화유지군을 주둔시켜 양측 분쟁을 조율해 온 러시아는 아제르바이잔의 행보를 사실상 묵인했다. 우크라이나 전쟁만으로도 바빠 이 지역 분쟁까지 대처할 여력이 없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중국은 아시아 주요국과도 사사건건 갈등을 빚고 있다. 중국이 언제든 대만을 침공할 것이란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 국경 분쟁 중인 인도와의 갈등도 격화하고 있다. 중국은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주요국과도 남중국해를 두고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박현도 서강대 유로메나연구소 대우교수는 “각국 분쟁의 ‘심판’ 역할을 했던 미국이 중국 견제를 위해 직접 ‘선수’로 나서면서 힘의 공백이 가속화했다”고 진단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