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난-독재-종파 갈등 심한 중동서 활개… 점조직으로 궤멸 어려워 [글로벌 포커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0월 21일 01시 40분


중앙정부 부재 속 세력 키운 이슬람 무장단체 대해부

“국가가 실패한 곳에서 극단주의 무장단체가 자란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통치하는 이슬람 수니파 무장단체 하마스의 이스라엘 침공으로 국제 정세가 격랑에 빠졌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하고 미국과 중국의 패권 갈등이 여전하며 아프리카 곳곳에서도 쿠데타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오랫동안 ‘세계의 화약고’였던 중동에서 또 전쟁이 발발한 것이다.

하마스를 포함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하마스를 포함해 팔레스타인이슬라믹지하드(PIJ), 후티, 알카에다, 이슬람국가(IS) 등은 대부분 이슬람 원리주의를 신봉하는 신정일치 국가 건설을 외치며 반(反)이스라엘, 반서방 투쟁을 벌이고 있다. 탈레반은 2021년 8월부터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고 있고, 헤즈볼라는 현 레바논 연정에 참여하며 단순한 무장단체 수준을 넘어섰다.

이들은 하나같이 자신들이 ‘성전(聖戰·Jihad)’을 벌인다며 무장투쟁의 정당성을 외친다. 각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의 특징은 무엇인지, 각국의 끊임없는 노력에도 이들 무장단체가 왜 사라지지 않고 각종 테러를 자행하는지 분석해 본다.

● 민생고 틈타 “이슬람 국가 건설”

극단주의 무장단체가 활동하는 지역은 레바논, 예멘, 아프가니스탄, 시리아, 이라크 등 대부분 국가가 정상 기능을 하지 못하는 곳이다. 극심한 경제난, 고질적인 부정부패, 시민사회의 부재, 장기집권 독재자, 심각한 민족 및 종교 갈등 등도 비슷하다.

시리아와 예멘은 각각 2011년, 2015년부터 내전 상태다. 2000년부터 장기 집권 중인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은 내전 후 반대파에게 국제법이 금하는 생화학 무기까지 사용해 지탄받고 있다. 그의 부친 하페즈 알 아사드 대통령 또한 1971년부터 29년간 장기 집권했고 아들에게 권력을 세습했다. 시리아 국민 대부분은 수니파지만 아사드 부자(父子)는 시아파 분파인 알라위파라는 점도 내전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예멘은 국제통화기금(IMF)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617달러(약 80만 원)에 불과한 세계 최빈국이다.

이라크는 2003년까지 독재자 사담 후세인 전 대통령이 집권했다. 후세인의 축출 후에는 미군 침공, 수니파와 시아파의 대립 등으로 극심한 갈등에 빠졌다.

아프가니스탄 또한 옛 소련 침공을 겪었다. 9·11테러가 발발한 2001년에는 테러 주범인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을 숨겨줬다는 이유로 이후 미국과 20년간 전쟁을 벌였다. 2021년 8월 미국이 물러나고 탈레반이 정권을 잡았지만 경제난이 해소될 기미가 안 보인다. 이달 초 북서부 헤라트 일대에서 발발한 강진 때는 잔해에 깔린 사람을 구조할 장비조차 없어 주민들이 맨손으로 흙과 돌더미를 파헤쳐야 했다.

지도층 부패도 빼놓을 수 없다. 하마스가 2007년부터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통치하고 있는 이유는 주민들이 2005년 이스라엘로부터 통치권을 넘겨받은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를 불신하기 때문이다. 마흐무드 압바스 PA 수반(88), PA 전신인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를 이끌었던 야세르 아라파트(1929∼2004)는 모두 부패와 장기집권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다. 아흔을 바라보는 압바스 수반 이후의 지도자 또한 보이지 않는다.

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중동센터장은 “중앙정부가 유명무실해 ‘국가 실패의 전형’으로 불리는 곳에서 극단주의가 자란다. 무장단체가 ‘국경 없는 이슬람 원리주의 국가를 만들겠다’고 외치기 좋은 토양이 만들어졌다”고 진단했다. 민생고에 지친 사람들에게는 이들 무장단체가 아무리 급진적이고 폭력적이라 해도 기성 정치권보다는 유능하고 청렴하게 느껴지므로 이들의 과격한 주장에 솔깃하게 된다는 것이다.

● 평화협정 인정 않는 하마스

7일부터 이스라엘과 전쟁을 벌이고 있는 하마스는 1987년 이스라엘에 반대하는 팔레스타인의 민중 봉기인 1차 ‘인티파다’ 당시 이슬람 성직자 아메드 야신이 설립했다. 이집트의 수니파 근본주의 조직 ‘무슬림형제단’에 뿌리를 두고 있다. 하마스는 PA의 전신인 PLO가 1993년 이스라엘과 맺은 평화 협정을 인정하지 않는다. ‘알깟삼 여단’이라는 무장단체를 중심으로 이스라엘 군인은 물론이고 민간인에 대한 테러 또한 서슴지 않는다.

아라파트가 살아있을 때만 해도 하마스의 세력은 지금처럼 강하지 않았다. 2004년 아라파트 사후 PA 지도부가 민심을 얻지 못하자 빠르게 성장했다. 특히 PA가 통치하는 요르단강 서안지구에 비해 면적이 훨씬 좁고 각종 생활여건 또한 열악한 가자지구에서는 하마스의 극단 주장에 동조하는 사람들이 속속 늘었다. 이에 2007년 가자지구에서 PA를 몰아냈다.

이때부터 이스라엘과의 갈등 또한 격화했다. 이스라엘은 PA와 달리 하마스를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 이들과의 대화도 거부하며 극단적인 가자지구 봉쇄 정책을 폈다. 하마스 역시 가자지구 내 병원, 학교, 이슬람 사원 같은 곳에 무기고를 설치하고 민간인을 사실상 방패로 사용하며 맞섰다. 하마스와 이스라엘은 각각 2014년, 2021년에도 ‘50일 전쟁’, ‘11일 전쟁’을 치렀다. 이번 전쟁 또한 그 연장선이다.

종파는 다르지만 반이스라엘, 반미국이라는 목표를 공유하는 이란은 하마스의 든든한 후원자다. 미 싱크탱크 우드로윌슨센터에 따르면 이란은 1992년부터 하마스에 연간 평균 3000만 달러(약 407억 원)를 지원하고 있다. 2018년 지원금은 7000만 달러에 달했고 지금은 이 수치가 늘었을 것이 확실시된다.

● 하마스보다 강경한 PIJ

팔레스타인의 또 다른 무장단체인 PIJ는 초강경 성향이다. 하마스조차 이스라엘에 유화적이라고 보며 대(對)이스라엘 투쟁 노선을 놓고 종종 충돌하기도 한다. 하마스와 마찬가지로 무슬림형제단의 분파이며 1981년 파티 알 시카키가 창설했다. 하마스 설립자 야신처럼 시카키는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숨졌다.

PIJ 고위 인사인 카데르 아드난은 올 5월 이스라엘 교도소에서 단식 투쟁 중 사망했다. 이후 이스라엘에 대한 PIJ의 반감은 극에 달했다. PIJ 측은 올 2월 수감 직후부터 단식에 돌입한 아드난이 위중한 것을 알면서도 이스라엘이 거듭된 석방 요청을 무시했다며 사실상의 살인이라고 격분했다.

PA에 대한 주민 반감을 등에 업고 세를 불린 하마스와 마찬가지로 PIJ 또한 하마스에 지친 일부 극단주의자의 지지를 얻고 있다. 하마스의 집권 후 가자지구 상황이 더 열악해지자 일부 주민은 하마스로부터도 등을 돌렸다. 이런 상황에서 PIJ는 계속 자살폭탄 테러 등 극단 무장투쟁을 자행하며 민심을 파고들었다. PIJ는 PA가 통치하는 요르단강 서안지구에서도 상당한 조직을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마스와 PIJ의 미묘한 갈등에는 두 단체를 모두 후원하는 이란도 끼어 있다. 하마스는 시리아 내전이 발발한 후 수니파 반군을 지지했다. 시아파 아사드 대통령의 후원자인 이란은 이를 반길 수 없다. PIJ는 하마스와 달리 시리아 내전에 일절 개입하지 않고 있다. 이스라엘 현지 매체들은 이란이 PIJ에도 연 3000만 달러를 지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과 미국은 17일 로켓포 오폭으로 가자지구 알아흘리아랍병원 폭파 참사를 일으킨 주체로 PIJ를 지목하고 있다. PIJ는 부인하나 그간 하마스와 PIJ가 발사한 일부 로켓이 민간인 거주지에 떨어졌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서방 측의 일방적 주장으로 치부하기는 어렵다.

● ‘이란 대리인’ 헤즈볼라

하마스를 도와 이번 전쟁에 참전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레바논의 시아파 무장단체 헤즈볼라에 대한 관심도 높다. 미국외교협회(CFR)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병력 4만 명, 로켓 및 미사일 15만 기를 보유했다. 어지간한 나라의 정규군과 맞먹는 규모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이런 헤즈볼라를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한 비(非)국가 행위자”라고 규정했다.

헤즈볼라는 공공연히 ‘이란의 대리인’을 자처한다. 이란은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등을 잇는 중동 내 ‘시아파 벨트’를 건설하기 위해 헤즈볼라가 꼭 필요하다고 보고 1982년 설립 당시부터 막대한 지원을 퍼부었다. 2020년 미 국무부는 이란이 헤즈볼라에 연평균 7억 달러(약 9100억 원)를 지원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1978년 이스라엘이 레바논 남부를 점령한 이래 이스라엘은 헤즈볼라의 주적이 됐다. 이란의 지원으로 중무장한 헤즈볼라의 활동 반경 또한 레바논에 그치지 않는다. 헤즈볼라는 1992년 남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이스라엘대사관에 자살 테러를 가했다. 2년 후 영국 런던의 이스라엘대사관에도 차량 폭탄 테러를 감행했다.

2005년에는 친(親)서방·친이스라엘 성향이며 수니파인 라피크 하리리 전 레바논 총리를 트럭 폭탄 테러로 암살했다. 2006년 이스라엘과 34일 전쟁도 벌였다.

헤즈볼라는 지난해 총선에서 13석을 확보해 원내 제2당에 오르며 공식적 정파의 위상도 얻었다. 중도 우파 성향인 제1당 ‘자유애국운동’이 주도한 연정에도 참여하고 있다. 언론, 학교, 의료시설 등을 자체 운영하며 인구의 30%가 넘는 시아파에게 꾸준히 지지를 얻고 있다.

민간인 테러 또한 반대한다. 2001년 9·11테러를 저지른 알카에다를 비난했고 미국인 민간인 희생자를 애도했다.

10일 “미국이 가자지구 분쟁에 개입하면 미사일을 발사하겠다”고 위협한 예멘의 시아파 무장단체 후티 반군 또한 헤즈볼라처럼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다. 2003년 미군이 이라크를 침공하자 반미를 기치로 본격 무장투쟁에 나섰다. 2015년 내전 발발 후 수니파 정규군과 공방을 거듭하고 있다.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정규군, 이란은 후티를 지원하면서 예멘 내전이 사실상 양측의 대리전으로 바뀌었다.

● 극단 무장단체의 대표, 알카에다-IS

많은 전문가들은 21세기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의 두 축이 알카에다와 IS라고 본다. 알카에다는 이슬람 원리주의 국가 건설의 최대 방해물이 미국이라고 여긴다. 1998년 동아프리카 케냐와 탄자니아의 미국대사관에서 연달아 폭탄 테러를 벌여 최소 220여 명이 숨졌다.

2001년 9·11테러를 벌인 후에는 전 세계를 아우르는 조직으로 변모했다. 북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일대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와 연계했고 반미 투쟁 이념을 설파했다.

IS는 2004년 이런 알카에다의 이라크 내 하부 조직으로 출발했다. 2011년 시리아 내전이 발발하자 IS는 국가 기능이 약화된 시리아와 이라크에서 급속도로 세를 불렸다. 2014∼2015년에는 시리아와 이라크 면적의 절반 정도를 점령하며 ‘국가’를 자처했다. 알카에다는 2014년 이런 IS와 절연했다.

IS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민간인 인질 참수 및 화형 장면을 생중계하며 잔혹성을 과시했다. 이를 통해 서구의 젊은 조직원도 대거 포섭했다. 서구에서 태어났지만 주류 사회에 낄 수 없었던 무슬림계 이민자 2세는 이런 IS의 선전전에 급속히 빠졌다.

IS는 이슬람에 비판적이라는 이유로 2015년 1월 프랑스 시사매체 ‘샤를리에브도’의 파리 사무실에 난입해 무고한 언론인과 만평가 등 12명을 사살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파리 곳곳의 극장, 카페에서 역시 총기를 난사해 최소 130여 명을 죽였다.

1996∼2001년 집권한 후 2021년 재집권에 성공한 탈레반은 여성의 교육 및 취업 금지 같은 극단적인 억압 정책을 펴고 있다. 30개 이상의 민족이 사는 다민족 국가에서 수니파 주류인 파슈툰족 이외의 민족과 종파를 철저히 배척한다. 2001년 수도 카불 서쪽에 있는 바미안의 세계적 문화유산 ‘바미안 석불’을 공개 폭파한 것도 이 일대가 시아파 소수민족 하자라족의 근거지이기 때문이다.

● 점조직 형태로 궤멸 어려워

미국 등 서방에서는 주요 테러가 있을 때마다 ‘궤멸’을 천명했다. 하지만 이들 단체를 뿌리뽑기 어려운 이유는 대부분 느슨한 ‘점(點)조직’ 형태를 유지하는 탓이다. 특히 알카에다와 IS는 본부가 직접 지시를 내리지 않고 각 지부가 독립적으로 활동한다. 본부는 자금을 지원하고 군사 훈련을 돕는 수준에 그친다.

강력한 중앙집권 체계가 아니기에 서방이 고위직을 제거해도 조직 전반에 큰 타격이 없다. 이에 우드로윌슨센터는 “IS는 지난해에만 지도자 2명을 잃었지만 글로벌 네트워크가 건재하다”고 평했다.

강경파 젊은층이 거듭된 하부 조직의 생성을 주도한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장지향 센터장은 “젊은 대원일수록 과격 주장에 동조하는 경향이 짙다”고 진단했다. 특히 IS의 등장 후 대부분 무장단체에서 젊은 대원들을 중심으로 위계질서 파괴, 극단 성향 강화, ‘선(先)테러 후(後)보고’ 등이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고령층이며 카타르 등 국외에 주로 거주하는 하마스 지도부 또한 이번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을 대부분 몰랐다는 것이다.

백승훈 한국외국어대 중동연구소 전임연구위원은 “폭력의 대물림, 협상과 대화의 부족 등이 무장단체의 기반을 넓혀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대부분의 무장단체가 이슬람 원리주의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무장한 일종의 ‘종교적 확신범’인 만큼 자살 폭탄 테러 등도 마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이런 세계관을 이해하지 못하는 서방이 이들을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경제난#독재#종파 갈등#중동 활개#점조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