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국제
美 우주군 “북한 정찰위성, 파괴 및 불능화로 활동 막을 수 있어”
뉴스1
업데이트
2023-11-30 09:08
2023년 11월 30일 09시 08분
입력
2023-11-30 09:07
2023년 11월 30일 09시 07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1일 밤 발사한 군사정찰위성의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주장했다.(평양 노동신문=뉴스1)
미국 우주군이 북한 정찰위성의 작동을 막을 다양한 방법이 있다고 밝혔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30일 보도했다.
미 우주군사령부 클린켈 셰릴 공보실 국장은 ‘북한이 지난주 발사한 정찰위성의 활동을 막을 수 있는 역량이 있는가’라는 RFA 질의에 “다양한 가역적 및 비가역적 방법을 사용해 궤도, 지상, 사이버 등에서 적의 전 우주 영역 활용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미국 랜드연구소 군사전문가인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은 RFA에 미 우주군이 말하는 ‘가역적 방법’은 “일정기간 위성의 눈을 멀게하는 것으로 감지 능력을 불능화했다가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설명했다.
베넷 선임연구원은 이어 ‘비가역적인 방법’은 “위성 작동 역량을 파괴시키는 것”이라며 “위성 자체를 파괴하거나 위성의 전자장치를 불태우는 것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 미 우주군이 ‘궤도, 지상, 사이버 등 적의 전 우주 영역 활용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도 “위성뿐만 아니라 위성지상기지국 파괴나 전파 방해 혹은 기지국 및 위성 연락 프로그램에 바이러스를 투입하는 것 등을 말한다”라고 부연했다.
북한은 지난 21일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발사한 뒤 즉각 ‘성공’을 선언하고, 수시로 위성이 찍은 사진들이 김정은 당 총비서에게 보고되고 있다며 성능을 과시하고 있다.
북한에 따르면 이 정찰위성은 남한의 주요 군사시설은 물론 미국 백악관과 펜타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해군기지 등 한미의 핵심 시설들을 촬영했다. 다만 실제 촬영한 사진은 공개하진 않고 있다.
북한은 만리경 1호가 “세밀조종공정을 마친 뒤 내달 1일부터 정식 정찰임무를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어, 이르면 내일 임무 개시와 관련한 보도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소비자원, 티메프 여행상품 집단소송 지원 신청 받는다
[속보]크렘린궁 “러 외무장관, 18일 사우디서 美대표단 회동”
트럼프, EU 보복관세 추진에 “상관없어, 결국 그들만 다칠것”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