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티 반군의 홍해 상선 공격때문에 세계 석유 시장이 안전한 공급처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유럽은 홍해를 지나지 않게 북해산 등을, 아시아는 분쟁 국가들을 피해 아랍에미리트(UAE) 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4일 보도했다.
당초 중동에서 유럽으로 가는 석유제품은 홍해를 지나 수에즈운하를 관통해 간다. 하지만 홍해의 안전이 문제가 되면서 유럽 전역에서 일부 정유업체들이 지난달 이라크 바스라원유가 아닌 북해산과 남미 가이아나산 원유를 사들였다.
반면 아시아에서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의 머반 원유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다만 케이플러의 선박 추적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에서 아시아로 수출되는 원유 선적은 전월대비 3분의1 이상 급감했다. 수입다변화를 하려고 해도 복잡한 여러 요소가 작용한다는 의미다.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운송량은 급감했다. 케이플러가 1월3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유조선 운송량은 지난 11월에 비해 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액화석유가스(LPG)와 액화천연가스(LNG)의 경우 감소폭이 더욱 뚜렷해 각각 65%와 73% 감소했다.
제품시장에서는 인도와 중동에서 유럽으로 향하는 디젤유와 제트유의 흐름과 아시아로 향하는 유럽의 연료유와 나프타의 흐름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석유화학 원료인 나프타의 아시아 가격은 유럽에서 공급받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로 지난주 거의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후티 반군의 홍해 공격으로 인해 운송비용이 늘어나면서 이는 유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홍해 상황때문에 장기적으로 석유 공급처가 재편될 것으로 보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단기적 분쟁 해결도 쉽지 않다. 현재로서는 인도나 한국과 같은 수입 의존 국가들이 석유 공급원을 다각화하기가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보았다. 또 정유업체의 경우 급변하는 시장 역학에 대응하는 유연성이 제한되어 결국 마진이 잠식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UBS의 한 원자재 분석가는 “다각화는 여전히 가능하지만 가격이 더 높아진다”면서 “(가격 상승분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가되지 않으면 정유소의 마진이 줄어든다”고 말했다. 또 컨설팅업체 한 이사는 “지정학적으로 무역에 좋지 않다”면서 “특히 아시아 정유사에 어려운 시기”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