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라인야후 경영권 갈등 美언론도 관심…“양국 간 균열 우려”

  • 뉴스1
  • 입력 2024년 6월 24일 16시 49분


일본 총무성이 내달 1일까지 라인야후에 사이버 보안 강화와 관련한 구체적 대응책을 제출하라고 요구한 가운데, 미 뉴욕타임스가 한국 네이버와 일본 라인야후 간 경영권을 둘러싼 갈등이 한일 양국 관계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고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일본과 한국이 앱을 놓고 긴장된 시기에 싸우고 있다’는 제하의 보도에서 “소프트뱅크와 네이버는 메시지 앱 라인의 운영과 소유를 위한 합작회사를 통해 양국 간 가교역할을 해 왔지만, 현재는 파트너십이 약해지고 있다”라고 전했다.

보도에서 뉴욕타임스는 “2019년 일본과 한국 두 최고 기업이 설립한 합작회사가 긴장된 외교 관계 속에서 협력의 등불로 환영받았다”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해진 네이버 공동창업자와 손정의 소프트뱅크 창업자가 50대 50으로 출자해 라인을 운영하는 합작회사를 설립할 당시 보도에서는 이를 ‘손·이 동맹’이라고 불렀다고 부연했다.

당시는 한국 대법원이 미쓰비시중공업을 비롯한 일본 기업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한국인 강제 노역 피해자에게 위자료를 주라는 판결을 내리자, 일본 측이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요 첨단 제품 생산에 필요한 핵심 소재 수출 통제로 맞서는 등 양국 관계가 최악으로 치닫던 때여서 양사 간 협력은 더욱 주목받았다.

양사 간 균열은 라인 운영사인 LY코퍼레이션이 지난해 11월 51만여 건의 개인정보가 무단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회사 측은 네이버 클라우드와 함께 업무를 위탁하고 있는 회사 직원이 사이버 공격을 받았고, 이를 계기로 네이버와 일부 시스템을 공유하는 라인야후에도 피해가 발생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일본 총무성은 올해 3~4월 라인야후에 사이버 보안 강화를 요구하는 행정지도를 두 차례 실시하면서 7월 1일까지 구체적인 대응책을 제시하도록 요구했는데, 여기에는 자본관계 재검토 요구가 포함돼 있다.

이를 두고 한국에서는 일본이 개인정보 유출을 빌미로, 네이버로부터 라인야후 경영권을 빼앗으려는 것은 외교적 문제가 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에서는 이 같은 행정조치가 큰 파장을 일으켰다”라며 “네이버 노조는 매각에 반대한다고 밝혔고,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는 일본 정부의 행정 조치에 대해 ‘매우 이례적’이라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특히 뉴욕타임스는 민주당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일본에 지나치게 유화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네이버를 꼽았다고 부연했다.

논란이 확산하자 한국 정부는 한국 기업과 국민의 이익에 최우선해 네이버 의사에 반하는 부당한 조치에는 단호하고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달 2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간 양자 회담에서도 라인야후가 가장 먼저 언급되기도 했다. 당시 기시다 총리는 “한일 양국 정부는 초기 단계부터 이 문제에 대해 잘 소통하면서 협력해 왔고, 앞으로도 긴밀히 소통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뉴욕타임스는 “과거에는 사소해 보이는 사건이라도 장기적인 외교 갈등으로 번질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라며 2018년부터 이어진 ‘초계기 갈등’도 소개했다.

뉴욕타임스는 “2018년 한국 해군 함정이 동해 상공에서 접근한 일본 초계기에 사격통제 레이더로 조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로 양국은 국방 관련 교류를 중단하는 것으로 대응했는데, 그러한 교착상태는 이번 달에야 완화됐다”라고 알렸다.

당시 동해 어선에서 조난한 북한 어선을 구조하던 한국 해군 구축함 광개토대왕함에 일본 해상 초계기가 접근했는데, 한국은 일본 초계기가 광개토대왕함에 근접 위협 비행을 했다고 주장했고, 일본은 광개토대왕함이 일본 초계기를 향해 사격 통제 레이더로 조사했다고 주장하며 갈등을 빚은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양국은 함정과 항공기 간 안전거리 유지 등의 재발 방지 대책에 합의하는 방식으로 5년 반 만에 초계기 갈등을 봉합했다.

손열 동아시아연구소 대표는 뉴욕타임스에 “일본이 라인 소유 문제를 궁극적으로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한일 관계에 폭넓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며 “양국의 관계는 회복 단계에 있지만 균열 요소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