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외무차관, 韓 주러대사 면담…“대결 노선 재고 촉구”

  • 뉴시스
  • 입력 2024년 6월 27일 03시 56분


코멘트

루덴코 외무차관, 이도훈 주러대사와 면담
"한러 관계 파괴 책임은 韓 현 정부에 있어"

ⓒ뉴시스
러시아 외무부는 한국 정부에 “한반도 긴장 고조를 촉발하는 대결 노선을 재고할 것”을 촉구했다. 수십년간 쌓아온 한러 관계가 파괴되고 있는 것에 대한 책임은 한국의 현 지도부에 있다고도 주장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26일(현지시각) 웹사이트에 게시한 보도자료에서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이 모스크바 외무부 청사에서 이도훈 주러시아 한국대사와 만나 이 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루덴코 차관은 회담에서 한국 정부에 “한반도 정세 악화를 유발하는 본질적인 대결 노선을 재검토하고 동북아의 화해와 평화, 안정을 보장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길을 택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또한 “수십 년 동안 축적된 (한국과 러시아의) 건설적인 협력의 산물을 파괴한 책임은 한국의 현재 지도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루덴코 차관은 아울러 “지난 18~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평양 국빈 방문과 그 기간 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체결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북러조약)과 관련한 북러 양자 협력 발전에 대한 한국 고위 관리들의 ‘반러시아적 발언’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러시아와 조선(북한)이 한반도 평화와 안보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는 ‘근거 없는 비난’은 러시아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동북아에서 미국 중심의 군사 블록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패권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공격적인 계획으로부터 국제사회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루덴코 차관은 전날에도 리아노보스티 통신 인터뷰를 통해 북러조약은 “한반도 긴장을 이용해 동북아에서 지속적으로 군사력을 증강하고 있는 미국을 겨냥한 것”이라면서 “한반도와 역내 문제를 군사적으로 해결하려는 국가들에 대한 일종의 경고”라고 강조했다.

동시에 “(북러조약은) 한국이나 제3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우리는 한국이 이 조약을 이해하고 침착하게 받아들여 러시아와의 관계를 포함해 건전한 접근 방식을 택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한 “한국이 서방의 대러 제재에 동참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 정부의 노력으로 직접적인 대결에 빠져들지 않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유지하는데 성공했다”면서 “이 같은 접근 방식을 한국도 공유하길 기대한다”고 역설했다.

북러조약 4조는 ‘전쟁시 지체 없는 상호 군사지원’을 명시하고 있다. 이 조항을 두고 외신들은 냉전시대로 회귀하는 군사 협력이라고 평가했다. 그럼에도 푸틴 대통령은 이것이 ‘침략’ 상황에 국한된 것이라면서 한국에 안심과 경고의 이중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제공하는 것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계속 경고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