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내 한국 상품 구매 경험이 있는 중국 소비자가 5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는 40%대였다. 중국 20·30대와 여성 소비자의 한국 상품 구매 경험이 크게 늘었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국 소비 트렌드 설문조사 결과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 4~6월 중국 주요 10대 도시 소비자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가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 내 한국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는 중국 소비자는 53.3%였다. 지난해 조사(43.1%) 대비 10.2%P 올랐다. 특히 여성(37.9%→58.7%)과 20대(41.2%→62.7%) 및 30대(40.4%→57.6%)의 구매 경험이 크게 늘었다.
한국 상품에 대한 긍정 평가는 여성(55.6%)이 남성(45.6%)보다, 20?30대 청년층(20대 57.6%, 30대 55.5%)이 40?50대 장년층(40대 49.3%, 50대 40.0%)보다 높았다.
최근 5년 내 중국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매한 한국 상품은 식품, 의류, 미용 제품 등 주력 소비재 품목이었다. 3대 상위 구매 품목을 제외한 영유아 제품?전자제품 등의 구매 경험은 20%를 밑돌았다. 중국 소비자의 한국 상품 구매가 일부 품목에 집중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상품은 품질?실용성?안정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가성비에서 부정 평가가 높다. 제품 디자인에 대한 부정 평가도 지난해 대비 5.6%P 상승했다(9.5%→15.1%). 높아지는 중국 소비자 안목에 부합하는 제품 디자인 적용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중국 소비자들은 한국 상품을 구매하지 않은 이유로 상품후기(52.7%)와 기업 이미지(51.8%), 국가 이미지(46.4%)를 가장 많이 꼽았다. 특히 최근 소원해진 한-중 관계로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커진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한국 상품 대신 자국(중국) 상품을 선택할 것이라는 응답자는 63.1%로 나타났다. 한국 상품을 대체할 국가로는 유럽(15.1%), 일본(14.4%), 미국(7.4%)이 지목됐다.
특히 한국산을 일본산으로 대체하겠다는 응답은 3.9%P 증가했다. 미국산으로 대체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2023년 대비 6.6%P 하락하며 지속되고 있는 미-중 갈등이 소비패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이후 중국의 대외 정책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중국 소비자의 소비방식과 패턴도 다변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선영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장은 “새롭게 인기를 끌고 있는 숏폼 동영상 플랫폼과 기존 온오프라인 판매채널을 적절히 사용해 (중국)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장해야 한다”며 “온라인 구매평 관리·바이럴 마케팅 진행 등 가심비(가격대비 심리적 만족도) 전략, 경쟁 기업 벤치마킹, 중장기적 브랜딩 강화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