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에 파견된 북한군이 격전지 쿠르스크에 집결하면서 실전 투입이 임박한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북한군 장병들이 최정예가 아닌 10~20대 초반의 신병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현지시각)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북한 군인들이 러시아의 전선에 도착했다. 그들은 싸울 준비가 얼마나 되어 있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러시아 남서부 쿠르스크 전선에 집결하고 있는 북한 군인들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가장 훌륭하고 뛰어난” 군인들이 아닐 수 있다고 진단했다.
WSJ는 공개된 북한군 영상과 정부 당국자들을 인용, 이번에 쿠르스크에 집결한 군인들이 10대에서 20대 초반의 어린 나이에 징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이들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또 이들의 비교적 작은 키와 체구를 볼 때 북한 전역에 만연한 영양실조를 반영한다고 군사 전문가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한국과 우크라이나 당국은 북한군이 파병한 부대가 특수작전부대인 11군단 소속 병력 등 총 1만2000여 명으로 추정된다고 밝힌 바 있다. 11군단은 소위 ‘폭풍군단’으로도 불리는 북한 최정예 특수부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WSJ는 북한의 특수부대 훈련이 주로 산악 지형인 한반도에서의 암살이나 기반 시설 파괴를 수행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넓은 평원에서 참호전을 벌이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익숙치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앳된 얼굴의 (북한) 군인들은 한 번도 북한 밖으로 나와본 적이 없을 가능성이 크다”며 “북한군은 오래되고 노후화된 재래식 군사 장비를 운영한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김정은 위원장이 선발대로 전투력이 약한 ‘총알받이’ 병력을 보내 우선 러시아 파병에 대한 국내외, 특히 러시아 정부의 반응을 살피려는 의도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 퍼시픽포럼의 연구원 제임스 JB 박은 김정은 위원장이 처음에는 상대적으로 ‘소모 가능한(expendable)’ 병력을 보내 국내외 반응을 살피기를 원할 수 있다면서 “이들은 후에 더 숙련된 군인들을 위한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쿠르스크 전선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진 북한군은 아직 전투에 참여하지는 않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할지도 분명치 않은 상황이다.
WSJ은 이들이 전투에 참여하는 대신 러시아군이 북한산 탄약과 미사일·드론을 이용하는 모습과 전쟁 상황 등을 관찰한 후 얻은 통찰을 고국에 가져다줄 수 있다고 짚었다.
그러나 만약 북한군이 전투에 직접 참여하게 되면 이는 2년 반 이상 이어져 온 분쟁이 크게 고조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북한 군인들이 최전선에 투입될 경우 이들은 러시아 군인들이 매우 위험한 ‘궤멸 지역’(meat grinder)으로 여기는 살상 가능 지역에 투입될 수 있다고 WSJ는 짚었다.
최전선에 투입된 러시아 군인들은 종종 우크라이나군의 위치를 알거나 인근 지역을 점령하기 위해 무작정 교전 지역에 투입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은 대부분 우크라이나의 정찰병이나 공격 드론에 의해 사살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