왈츠 “이란에 대한 ‘최대 압박’ 복원… 중동-우크라 전선 안정화 도움될 것”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1월 29일 03시 00분


트럼프 2기 외교정책 1순위 거론
이란産 원유 수입 中에도 경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이 집권 1기 때 시행했던 이란에 대한 ‘최대 압박(Maximum pressure)’ 기조를 복원할 뜻을 밝혔다. ‘최대 압박’은 트럼프 1기 초기 외교 기조로 이란과 북한에 대한 제재를 강화해 핵을 포기하게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트럼프 2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지명된 마이클 왈츠 공화당 하원의원은 26일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2기 외교정책의 우선순위는 이란”이라며 “이란에 대한 최대 압박은 중동뿐 아니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선의 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란이 (러시아에) 탄도미사일과 셀 수 없이 많은 무인기(드론)를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미국 등 서방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이란이 러시아에 ‘샤헤드 136’ 같은 자폭 드론, 탄도미사일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제기해 왔다. 즉, 이란의 대(對)러시아 지원을 끊어야 트럼프 당선인이 공약했던 ‘우크라이나 전쟁의 빠른 종전’이 가능해진다는 점을 강조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란산 원유를 수입하는 중국에도 경고장을 날렸다. 왈츠 의원은 “중국이 이란산 불법 석유의 90%를 사주고 있다. 이에 관해 중국과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전쟁을 벌였던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친(親)이란 무장단체 헤즈볼라가 27일부터 ‘60일 휴전’에 돌입한 것을 두고도 “트럼프 (재집권) 효과를 본 것”이라고 자찬했다. 그는 트럼프 당선인의 복귀로 각 지역의 분쟁 당사자가 모두가 “협상에 임하겠다”고 나서고 있다고 공개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휴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내년 1월 20일 미 대통령 취임식 전에 (하마스가 억류 중인 이스라엘) 인질을 귀환시킬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이어 1979년 이란의 ‘이슬람 혁명’ 뒤 미국인 52명이 이란 테헤란에서 혁명세력의 인질로 붙잡혔지만 1981년 1월 로널드 레이건 당시 대통령의 취임식 당일에 석방된 사례를 거론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의 방위비 증액도 촉구했다. 그는 “유럽연합(EU)의 경제 규모는 미국과 비슷하다. 그러나 나토 회원국의 절반 정도만 최소한의 방위비를 분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집권 1기 때 각국 국내총생산(GDP)의 최소 2%를 방위비로 지출해야 한다고 압박했고 2기에는 이 비율을 더 늘릴 뜻을 시사했다. 왈츠 의원의 발언은 아직도 2%에 미달하는 나토 회원국에는 이를 속히 2%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이미 2%를 넘긴 국가 역시 더 높이라는 압박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2기#외교 기조#이란#최대 압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