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패션 브랜드 ‘유니클로’를 자회사로 둔 퍼스트리테일링의 야나이 타다시 회장(75)이 강제 노동 논란이 제기된 중국 신장 지역의 면화를 제품에 사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중국에서는 유니클로 불매 운동이 확산했다.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야나이 회장은 도쿄에서 진행한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옷의 소재 생산지 및 제조방법을 더욱 투명하게 하려는 유니클로의 조치와 관련해 “우리는 (신장산 면화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어떤 (다른) 면화를 사용하고 있는지 언급함으로써”라며 말을 이어가려다 잠시 멈추더니 “더 이상 말하면 너무 정치적이니까 여기서 멈추겠다”고 했다.
BBC는 “유니클로가 신장산 면화 사용 여부를 공식적으로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전했다. 야나이 회장은 그간 신장산 면화를 둘러싼 문제에 대해 “정치적인 질문에는 노코멘트(답변 거부)하겠다”며 언급을 피해 온 바 있다.
당초 신장 지역에서 생산된 면화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신장 지역은 일조시간이 길고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며 강우량이 풍부해 면화를 생산하기 적합한 기후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장 면화가 소수 민족인 위구르족의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다는 폭로가 나오면서 글로벌 업체로부터 외면받기 시작했다.
미국 정부는 2022년 ‘위구르 강제 노동 방지법’을 제정해 신장위구르에서 생산된 제품을 강제 노동의 결과물로 간주하고, 수입을 금지했다. 이에 따라 버버리와 H&M, 나이키, 아디다스 등이 신장 면화 사용을 중단하자, 중국 내에서 해당 브랜드들의 불매 운동이 벌어졌다.
중국 누리꾼들은 야나이 회장의 발언 이후 유니클로에도 불만을 드러냈다. 중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유니클로는 파산해라” “이제 (유니클로 제품) 안 산다” “중국 시장에서 나가라” 등의 글이 올라왔다. 일부 인플루언서는 직접 유니클로 제품을 가위로 찢고 솜을 꺼내는 영상을 올렸다.
현재 중국에는 900개 이상의 유니클로 매장이 있다. 유니클로가 중화권에서 벌어들이는 수입이 전체의 20%에 달하므로 불매 운동이 본격화할 경우 타격이 클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분석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9일 정례브리핑에서 “신장 지역의 면화는 세계 최고의 면화 중 하나”라며 “관련 기업이 정치적 압력과 불량한 간섭을 배제하고, 독립적이고 자주적으로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사업적 결정을 내릴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