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사 의견 인용…“수동 조작 시간 부족 가능성”
우크라 기장 “활주로 끝 콘크리트 벽 이해 안 돼”
영국 더타임스는 29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되짚으면서 조종사가 연착륙을 위한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타임스는 이날 ‘무엇이 한국에서 비행기를 추락하게 했나. 조종사는 각자 이론을 가지고 있다’라는 보도를 통해 제주항공 기체 추락 원인을 조명했다.
매체는 복수의 조종사 의견을 인용해 제주항공 여객기는 적어도 하나의 엔진에서 동력을 잃은 것으로 보이며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 보고 뒤 유압장치 고장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는 판단을 내놨다.
추락 직전까지 영상과 데이터를 토대로 부분적인 고장으로 인해 사고 기체 제주항공 조종사가 랜딩기어(바퀴 등 착륙장치)와 공기가 뜨거나 내릴 때 많은 양력을 얻을 수 있도록 날개 모양을 바꾸는 장치인 날개 플랩을 접은 상태에서 급선회하여 착륙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기체가 날개 플랩을 펴고 정상적으로 접근하고 있었지만 조류 충돌로 의심되는 사고로 오른쪽 엔진이 손상한 뒤 착륙을 시도하면서 플랩과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활주로로 진입했다는 판단이다. 데이터는 조류 충돌로 인해 메이데이(긴급구난신호)를 선언하면서 전송이 중단됐다.
사고 기체인 보잉 737은 플랩과 랜딩기어가 유압체계에 의한 작동 외에도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과 왼쪽 엔진 역추진 장치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러면서 유압계통 고통으로 날개 플랩과 랜딩기어를 작동하지 못했을 것이며 수동으로 이를 조작하기에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데니스 다비도우 우크라이나국제항공(UIA) 기장은 “같은 기체를 조종하는 사람으로서 매우 이상하다”며 “역추진 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유압장치는 있었지만 플랩이나 랜딩기어는 없었던 것 같다”고 분석했다.
다비도우 기장은 “조종사가 (항공기) 방향 제어할 수 없었을 것”이라면서 콘크리트 안테나 구조물을 세운 부분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제트 엔진 항공기는 활주로뿐 아니라 이륙 직후나 착륙 직전에도 조류에게 취약하다면서도 조류 충돌로 엔진은 정지된 적은 있지만 제어 체계가 고장 나 엔진이 파괴된 사례는 드물다고 짚었다.
영국 민간항공청에 따르면 2022년 한 해 동안 영국에서 조류 충돌은 1400여 건이 보고됐는데 이 중 기체 운항에 영향을 미친 사례는 100여 건에 그쳤다.
태국 수도 방콕에서 출발해 무안공항에 도착 예정이었던 제주항공 7C2216편은 29일 오전 9시3분께 공항 착륙 도중 랜딩기어를 펼치지 못하고 활주로를 이탈, 공항 외벽과 충돌했다. 여객기는 충돌 직후 산산조각 난 뒤 화염에 휩싸였다.
항공 사고 원인 규명을 도맡는 국토교통부는 사고 직전 관제탑에서 “조류 충돌 주의보” 교신을 한 지 얼마 안 돼 조종사가 긴급구조신호 ‘메이데이’를 선언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관제탑은 오전 8시54분 착륙 허가를 내렸고 오전 8시57분 조류회피 주의 조언을 했다. 2분 뒤 사고 항공기 기장이 메이데이(긴급구난신호) 선언을 했고, 오전 9시3분 사고가 났다.
메이데이 선언 직후 복행(재착륙을 위해 다시 떠오르는 것)하지 않고 당초 착륙 방향이 아닌 19방향(반대 방향)으로 착륙하려다 활주로를 지나 담벼락까지 충돌했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국토부는 사고 원인을 규명할 블랙박스와 항공일지를 수거한 상태다.
사고 기체는 미국 보잉사가 제작한 보잉737-800 모델로 확인됐다. 189좌석을 갖춘 737-8AS로 2009년 8월 제작됐다. 15년 기령으로 비교적 신형에 속한다.
사고 여객기에는 승객 175명, 승무원 6명 등 모두 181명이 탑승했다. 태국인 2명을 제외한 나머지 탑승객 전원이 한국인으로, 승무원 2명을 제외한 179명이 전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