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선택
  • 국정원 “北, 러시아 파병군에 노동당 입당 등 특혜 가능성”

    국정원 “北, 러시아 파병군에 노동당 입당 등 특혜 가능성”

    북한 당국이 러시아에 파병된 군인들에게 노동당 입당, 평양 거주, 대학 입학 등의 특혜를 다수 약속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출신 성분’에 따라 차별이 존재하는 북한에서는 다소 파격적인 제안이다. 국정원은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보고 실상을 파악하고 있다. 국정원은 17일 뉴시스와의 통화…

    • 2025-02-17
    • 좋아요
    • 코멘트
  • “北, 전장서 드론 등 공격전술 학습…돌아가면 어떻게든 활용할 것”

    “北, 전장서 드론 등 공격전술 학습…돌아가면 어떻게든 활용할 것”

    “북한군은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방어가 아닌 공격 전술만 배웠다. 북한은 이렇게 쌓은 현장 전투지식을 귀국한 뒤 어떻게든 활용할 것이다.”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우크라이나 대사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주년(24일)을 앞둔 13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북한군 파병의 영향력에 대해 이렇…

    • 2025-02-14
    • 좋아요
    • 코멘트
  • 美, 북한군 철수 요구설… “러, 종전 협상 카드로 쓸 가능성”

    美, 북한군 철수 요구설… “러, 종전 협상 카드로 쓸 가능성”

    미국이 주도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이 본격화되면서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거취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러시아가 종전 협상에서 북한군을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3일(현지 시간) 반(反)러시아 성향 텔레그램 채널 ‘제너럴SVR’은 미…

    • 2025-02-14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러, 파병 북한군 ‘종전 협상 핵심 카드’ 활용 가능성

    러, 파병 북한군 ‘종전 협상 핵심 카드’ 활용 가능성

    미국이 주도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이 본격화되면서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거취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러시아가 종전 협상에서 북한군을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앞서 3일(현지 시간) 반(反)러시아 성향 텔레그램 채널 ‘제너럴SVR’은 미국…

    • 2025-02-13
    • 좋아요
    • 코멘트
  • 부상 러군 굳이 북한에서 치료 왜?…“전술 교환 목적인 듯”

    부상 러군 굳이 북한에서 치료 왜?…“전술 교환 목적인 듯”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군 부상병을 치료하는 것이 실제로는 북한군에 전투 경험과 군사 전술을 전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미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전황을 분석하는 미 전쟁연구소(ISW)는 10일 공개한 ‘러시아 공세 …

    • 2025-02-12
    • 좋아요
    • 코멘트
  • 주북 러대사 “러시아 부상병 수백명 北서 치료-요양중”

    주북 러대사 “러시아 부상병 수백명 北서 치료-요양중”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부상당한 러시아군 병사들이 북한에서 치료와 요양을 받고 있다고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주(駐)북한 러시아 대사가 밝혔다.지난 10일 마체고라 대사는 러시아 국영 언론 로시스카야 가제타와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서 다친 러시아군 수백 명이 북한 요양원, 의료시설 등에서…

    • 2025-02-11
    • 좋아요
    • 코멘트
  • 김정은 우크라이나 언급에…정부 “북한군 추가 파병 동향 주시”

    김정은 우크라이나 언급에…정부 “북한군 추가 파병 동향 주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최근 인민군 창건 77주년 연설에서 우크라이나전을 언급한 것이 ‘추가 파병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는 관측에 정부는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라고 밝혔다.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10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불법적인 군사 협력, 러시아에 대한 …

    • 2025-02-10
    • 좋아요
    • 코멘트
  • 국정원 “북한, 지난해 러시아에 불법 노동자 수천명 파견”

    국정원 “북한, 지난해 러시아에 불법 노동자 수천명 파견”

    지난해 북한이 러시아에 대규모 전투부대뿐 아니라 다수의 노동자도 파견한 것으로 알려졌다.국가정보원은 9일 “작년 북한이 러시아 각지의 건설 산업 현장에 수천 명의 노동자를 파견한 바 있다”고 밝혔다.현재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인해 건설 및 산업 현장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

    • 2025-02-09
    • 좋아요
    • 코멘트
  • 우크라 대통령 “러 쿠르스크 전투에 북한군 다시 등장”

    우크라 대통령 “러 쿠르스크 전투에 북한군 다시 등장”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한동안 모습이 보이지 않던 북한군이 러시아군과 함께 다시 전투에 참여하고 있다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7일(현지시각) 밝혔다. 우크라이나 매체 우크린폼 뉴스레터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쿠르스크 작전 지역에서 새로운 공격이 발생했다. 러시…

    • 2025-02-08
    • 좋아요
    • 코멘트
  • 우크라 대사 “북한군 포로 한국 이송, 협상 열려 있어”

    우크라 대사 “북한군 포로 한국 이송, 협상 열려 있어”

    우크라이나는 생포한 북한군 포로 2명을 남한으로 이송할 가능성과 관련해 한국과 협상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6일(현지 시간) 키이우인디펜던트에 따르면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우크라이나 대사는 코리아타임스 서면 인터뷰에서 아직 한국과 공식 협상을 시작하지 않았지만 포로들이 북한 송환…

    • 2025-02-07
    • 좋아요
    • 코멘트
  • “美, 러 점령지 인정-우크라 안전보장 곧 제시”

    24일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년을 앞두고 양측의 중재를 시도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에는 현재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영토를 계속 보유하는 것을 인정해주고, 우크라이나에는 서방의 안전 보장을 제공하는 휴전안을 수립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5일 보도했다. 키스 켈로…

    • 2025-02-07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우크라 전장 나무에 한글로 ‘하늘’… 포로 거부한 북한군의 비극

    우크라 전장 나무에 한글로 ‘하늘’… 포로 거부한 북한군의 비극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우크라이나군에 포로로 붙잡히는 대신 자살을 선택한 사례가 확인됐다.우크라이나 군사 전문 텔레그램 채널 ‘브라티 포 즈브로이(전우들)’에는 6일(현지시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군 병사의 시신 사진이 공개됐다.사진에는 나무에…

    • 2025-02-06
    • 좋아요
    • 코멘트
  • “러 방문 북한 주민 12배 급증…노동자 불법 파견 가능성”

    “러 방문 북한 주민 12배 급증…노동자 불법 파견 가능성”

    지난해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 주민의 수가 1만 3000여 명으로, 전년 대비 12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5일 러시아 연방통계청의 최신 이민 자료를 인용해 2024년 한 해 동안 러시아에 입국한 북한 주민이 1만 3221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2…

    • 2025-02-05
    • 좋아요
    • 코멘트
  • 국정원 “1월 중순부터 러시아 파병 북한군 전투 동향 없어”

    국정원 “1월 중순부터 러시아 파병 북한군 전투 동향 없어”

    국가정보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일시 퇴각했다는 외신보도에 대해 “1월 중순부터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파병된 북한군이 전투에 참여하는 동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4일 밝혔다.국정원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했다가 대규모 병력 손실을 입은 북한군이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

    • 2025-02-04
    • 좋아요
    • 코멘트
  • 젤렌스키 “北, 러시아에 2만5000명 추가 파병 정보 입수”

    젤렌스키 “北, 러시아에 2만5000명 추가 파병 정보 입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북한의 추가 파병 가능성을 언급했다.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매체인 키이우 인디펜던트와 RBC 등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2만 명에서 2만 5000명 규모의 북한군 병력이 쿠르스크에 추가로 보내질 수 있다”고 …

    • 2025-02-03
    • 좋아요
    • 코멘트

이전 달다음 달
262728293031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