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23,941
구독
남아프리카공화국 구굴레투 마을에 사는 시지웨는 4명의 동생을 홀로 돌본다. 아빠는 일하러 바다에 나갔고, 엄마는 아픈 할아버지를 돌보러 이웃마을에 갔다. 동생들은 배가 고프다며 음식을 찾지만, 집 안 어디에도 음식 재료는 없다. 시지웨는 냄비에 물을 채우고 끓이며 맛난 음식을 만…
“자유시장 경제학이 거둔 승리는 밤에 촬영한 한반도 위성사진으로 설명되곤 한다.…인상 깊은 모습이지만 그 의미가 종종 잘못 해석된다. 다른 부유한 나라와 마찬가지로 한국은 경제를 신중하게 조종하며 번영을 일궈냈다. 이 이야기는 국가가 운전대에서 두 손을 모두 떼기로 결정하면 어떤 일이…
1945년 말 정식 등록된 국내 출판사는 45개에 불과했다. 그런데 1948년 말이 되자 792개로 폭증한다. 광복이 출판계에도 해방을 부른 것. 쏟아져 나오는 책을 팔 곳이 부족하자 길거리 좌판이 등장했다. 노점책방 전성시대가 열린 것. 당시 대구에서 노점책방을 연 김원대는 “동아일…
○ 가치학(사이먼 켈리 외 2인 지음·김상현 정언용 김진환 옮김·서울경제경영)=고객의 욕구, 동기, 고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고객 가치를 발굴해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담았다. 기존 고객을 유지하면서 신규 고객을 확보하는 마케팅 전략도 파고들었다. 2만2000원. ○…
부분이 전체와 비슷한 형태로 끝없이 되풀이되는 구조를 수학에선 ‘프랙털’이라고 부른다. 1975년 프랑스 수학자 브누아 망델브로(1924∼2010)가 처음 쓴 개념이다. 사실 자연에서도 프랙털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안선의 한 부분을 가까이에서 보면 멀리서 봤던 전체 …
떨어지는 장미꽃들 사이로 미(美)의 여신 비너스가 윤기 나는 머릿결을 흩날리며 바다 위에 떠오른다. 멍 자국이나 군살은 찾아볼 수 없는 그야말로 완벽한 몸매. 15세기 이탈리아 거장 산드로 보티첼리(1445∼1510)가 그린 ‘비너스의 탄생’은 오늘날까지도 TV 광고와 영화 속 미녀의…
어느 봄날 아내가 베란다에 목을 매달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동물 박제 연구사인 박인수는 아내가 목숨을 끊기 이틀 전 한 과학관에서 의뢰받은 물개 박제품을 보수하느라 밤을 새웠다. 평소와 달리 연락 없이 이른 새벽 집에 도착했다가 우연히 아내가 화장실에 올려둔 양성 반응의 임신 테스…
미국에는 교도소에 대학이 있다. 바깥에 있는 대학이 운영하는 ‘출장 캠퍼스’쯤 된다. 실제로 학점도 따고 학위를 취득하기도 한다. 재소자에게 왜 대학 교육을 한다는 걸까. 뉴욕 북부에 소재한 바드칼리지의 ‘바드교도소사업단’ 교수인 저자가 그 사정을 들려준다. 종합대학이 연구 중심이…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20세기 프랑스 페미니스트 시몬 드 보부아르(1908∼1986)의 이 말은 당시 ‘젠더’를 둘러싼 진화생물학적 관점을 완전히 뒤집어 놓았다. 정말 성(性)은 원래부터 주어진 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만들어지는 걸까. 날 때부터 타고…
나는 이런 시가 좋다. 아침에 짤막한 시 한 줄을 읽었는데, 하루 종일 방 안에 그 향기가 남아 있는 시. 사람의 온기가 담겨 있는 따뜻한 시. 영혼의 갈증을 축여주는 생수 같은 시. 눈물이나 이슬이 묻어 있는 듯한, 물기 있는 서정시를 나는 좋아한다. 때로는 핍박받는 자의 숨소리, …
“죽음을 마주하여 인간이 상심하는 것도 주제넘은 일인지 모른다. … 슬퍼하기를 멈추고 거역하기 어려운 거대한 힘에 순응하는 것이 상책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겸허한 태도로 거대한 힘에 순응하는 데도 각별한 마음의 힘이 필요하다.” 삶이 이다지도 지난하단 걸 미리 알았더라면, 그리 애…
“고대 국가 중 가장 화려한 황금문화를 꽃피운 건 신라였다. (…) 1973년 ‘경주고도 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천마총’ ‘황남대총’ 등이 차례로 발굴되면서 ‘황금의 나라, 신라’의 실체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일하는 현직 연구원이 문화재 보존과학의 세계를 조명한…
○ 조선의 大기자, 연암(강석훈 지음·니케북스)=‘열하일기’에서 스스로를 기자(記者)라고 칭했던 조선 후기 실학자 연암 박지원(1737∼1805)의 언론관을 추적했다. 해야 할 말을 하고 써야 할 글을 써야 한다고 강조한 박지원의 정신을 통해 오늘날 언론이 지향해야 하는 정신을 돌아본…
스위스 정신의학자 루트비히 빈스방거(1881∼1966)는 갓 스무 살이 된 장남을 잃었을 때 그 비통한 마음을 정신분석학 창시자인 지크문트 프로이트(1856∼1939)에게 알렸다고 한다. 프로이트는 빈스방거를 이렇게 위로했다. “사별 뒤 극심한 슬픔은 언제나 끝이 납니다만, 그 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