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주민들 “투기 소리 땜시 베려부렀어”

  • 주간동아
  • 입력 2019년 6월 22일 15시 09분


코멘트

도시재생, 문화거리 복원 차질 생길까 노심초사

노적봉 예술공원에서 바라본 목포 근대문화거리 전경.
노적봉 예술공원에서 바라본 목포 근대문화거리 전경.

검찰이 무소속 손혜원 의원의 전남 목포시 구도심 근대역사문화공간 부동산 집중 매입을 투기로 결론 내리고 불구속 기소했다. 2017년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1년 8개월에 걸쳐 손 의원 남편이 이사장인 문화재단과 지인이 매입한 건물 19채, 토지 23필지 등이 목포시가 도시재생사업을 위해 작성한 ‘보안자료’에 표시된 구역 안에 있다는 이유에서다.

손 의원은 “목포 발전을 위해 투자한 것”이라며 선의를 주장했지만 검찰은 손 의원이 의정 활동 중에 입수한 개발 정보를 이용해 부동산 투기를 했다고 본 것이다. 특히 검찰은 손 의원이 조카에게 증여했다고 주장한 게스트하우스 ‘창성장’ 등 건물 2채와 토지 3필지를 손 의원의 차명 재산으로 판단했다. 부동산을 직접 알아보고, 매매대금과 건물 인테리어 비용까지 모두 손 의원이 댔다는 이유에서다.

검찰은 손 의원과 함께 보안자료 내용을 확인한 보좌관 A씨와 보안자료를 훔친 부동산업자 B씨도 불구속 기소했다. A씨는 자신의 딸 명의를 빌려 목포 구도심의 부동산을 사들이고, 남편과 지인에게도 관련 정보를 알려 부동산을 매입하게 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보안자료를 훔친 혐의를 받는 B씨 역시 이 지역 부동산을 사들였다.

검찰이 손 의원과 A, B씨를 기소함으로써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은 앞으로 법정에서 진위가 밝혀지게 됐다.

목포 시민, 특히 근대문화거리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손 의원에 대한 부동산 투기 의혹과 검찰의 기소를 어떤 심정으로 바라보고 있을까. 검찰의 수사 결과 발표 직후인 6월 19일 오전 목포로 향했다.

창성장, 그리고 손소영 갤러리

목포 근대문화거리에 있는 일본식 가옥.
목포 근대문화거리에 있는 일본식 가옥.


근대문화거리는 목포역에서 걸어갈 수 있을 만큼 가까웠다. 하당과 남악 등 신도시가 들어서기 전까지 목포시에서 가장 번화한 곳이었지만 이제는 사진 속 풍경처럼 옛 모습 그대로 머물러 있다. 항구와 역을 끼고 있어서인지 곳곳에 목욕탕과 여관이 유독 눈에 많이 띄었다.

목포역을 등지고 좌측으로 돌아 횡단보도를 건너 한 블록 들어가면 긴 도로가 시작되는데 거기서부터 유달초까지 이어진 도로가 근대문화거리로 지정됐다. 근대문화거리에는 번성했던 과거를 떠올리게 하는 추억의 가게가 많다. 특히 ‘민어의 거리’와 맞닿아 횟집도 여럿 있고, ‘건해산물상가 거리’와도 가깝다.

목포에는 도시재생이 필요한 낙후된 마을이 적잖다.
목포에는 도시재생이 필요한 낙후된 마을이 적잖다.

일제강점기 때 지어진 건물이 남아 있어 근대문화거리로 지정됐지만 거리 풍경은 1970년, 1980년대 모습 그대로였다. 목포역 쪽에서 근대문화거리가 시작되고 두 번째 사거리에 손 의원의 조카 손소영 씨가 운영하는 갤러리가 자리 잡고 있다. 기자가 막 갤러리를 발견했을 때 검은색 승용차가 가게 앞에 서더니 여성 3명이 차에서 내렸다.

“여기가 맞네.” “제대로 찾아왔네.”

세 여성은 주변을 잠시 둘러보더니 빨려 들어가듯 갤러리 안으로 향했다. 거리에서 만난 한 청소부는 “손 의원의 투기 논란 이후 창성장과 손소영 갤러리를 찾아오는 외지인이 많다”고 말했다.

목포 구도심에는 좁은 골목이 많다.
목포 구도심에는 좁은 골목이 많다.

갤러리에서 유달초 쪽으로 조금 내려오다 만나게 되는 사거리 오른편에 창성장 간판이 눈에 들어왔다. 창성장 초입에서는 젊은 남자 2명이 교대로 인증샷을 찍었다. 잠시 후에는 한 젊은 커플이 창성장으로 향하는 좁은 골목길에서 다양한 포즈로 인증샷을 찍어댔다.

목포 근대문화거리에 있는 건물 가운데 총 15채가 문화재청에 등록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그런데 손소영 갤러리와 창성장은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아 안내 지도에 별도로 표기돼 있지 않다. 그럼에도 두 곳은 이미 근대문화거리를 대표하는 명소나 다름없었다. 두 곳의 위치도 근대문화거리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다.

손혜원 의원 조카가 운영하는 손소영 갤러리 카페(사진2)를 중심으로 바로 옆에는 등록문화재 제718-11호(사진4), 앞에는 제718-12호(사진3), 길 건너에는 제718-13호가 포진해 있다.
손혜원 의원 조카가 운영하는 손소영 갤러리 카페(사진2)를 중심으로 바로 옆에는 등록문화재 제718-11호(사진4), 앞에는 제718-12호(사진3), 길 건너에는 제718-13호가 포진해 있다.

손소영 갤러리 옆에는 등록문화재 제718-11호인 옛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 앞에는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2(등록문화재 제718-12호)가 위치해 있다.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5·18민주화운동 당시 목포지역 지도자 안철 장로가 운영하던 동아약국 건물이 자리 잡고 있다. 이 건물 역시 일본식 상가주택-3으로 등록문화재 제718-13호로 지정돼 있다. 등록문화재 3개가 손소영 갤러리를 에워싼 형국이었다. 창성장 역시 해안로 교차로 상가주택(제718-9호)과 일본식 상가주택(제718-8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다.

지역 발전 촉진론 vs 부동산 투기론

서산배수지 언덕에서 바라다 본 목포항.
서산배수지 언덕에서 바라다 본 목포항.

목포에서 만난 시민들은 손 의원 역할론과 투기론으로 팽팽히 맞서 있었다. 유달초 인근에서 가게를 운영하는 한 부부는 손 의원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여기 얘기를 TV에서 하도 해대니께 썰렁하던 거리에 사람들이 좀 댕깁디다. 관광버스로 사람들이 찾아오게 만든 것은 그 양반 공이 크지라. 안 그런가.”

“나는 (손 의원이) 투기했다고 생각 안 해요. 투기할라믄 서울서 했겄지, 어째 여기까정 와서 다 쓰러져가는 헌 집을 샀답니까.”

부부는 “이 동네가 살아나는 데 손 의원의 공이 컸다”고 입을 모았다.

“주말이면 관광버스가 사람들을 많이 실어 날라요. 사람들이 많이 돌아다닝께 커피숍도 생기고…. 여기 사람들한테 나쁠 것은 없죠.”

근대문화거리에는 2개의 목포근대역사관이 있다. 언덕배기에 자리한 1관은 옛 일본영사관 건물로,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전망 좋은 곳에 위치한다. 2관은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으로 근대문화거리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다. 2관 앞 건물 1층 목 좋은 곳에서는 젊은 부부가 세를 얻어 한창 카페 오픈을 준비하고 있었다. 남편이 인테리어 공사로 나온 쓰레기를 치우는 사이 아내는 옆에 서서 그 모습을 지켜봤다.

“어떤 가게를 할 생각이세요?”

“커피숍 하려고요.”

목포 근대문화거리가 유명세를 타면서 장사가 될까 싶어 세를 얻어 시작한 일이라고 했다. 부부는 ‘손혜원’ ‘투기’ ‘기소’를 주제로 여러 질문을 던졌지만 “잘 모른다”며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평일 낮 시간대라 그런지 목포시 근대문화거리는 한산했다. 목포로 1박 2일 회사 연수를 왔다 상경하기 전 동료들과 잠시 들렀다는 50대 회사원 오모 씨는 “기대했던 것보다 볼거리가 많지 않아 아쉽다”고 말했다.

목포 근대문화거리에는 드문드문 관광객이 찾아왔지만 거리는 아직 크게 활성화된 상태는 아니었다. 해질 무렵 집 앞 평상에 나와 쉬고 있는 한 할머니를 만났다. 이 거리에서 40년 넘게 슈퍼를 운영한 표애례 할머니였다. 할머니의 집 한켠은 ‘사슴슈퍼마켓’이라는 간판 아래 ‘쉼터’로 바뀌어 있었다. 근대문화거리를 오가는 사람들이 쉬어갈 수 있는 곳이었다. 할머니의 주택은 지난해 8월 등록문화재 제718-7호로 지정됐다.

“집을 깨끗이 고쳐준다는 말만 듣고 신청했더니 월세 한 푼 안주고 이러코롬 쉼터로 만들어뿌렀소. 그 일로 애들한테 타박도 많이 들었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면 수리비용을 지원받고 재산세도 감면받는 등 혜택이 있지만, 증·개축이나 개조 시 당국 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는다. 할머니 집은 근대역사관 2관 주차장 바로 앞에 있어 입지가 매우 좋았다.

근대기 목포의 대표적 번화가이자 중심거리였던 본정(현재의 번화로)의 사거리 모퉁이에 위치한 점포주택 건물로 근대기 동양척식주식회사 주변 시가지의 흔적과 기억을 담고 있고 해방 이후 상업 경제 공간 요소를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건축형식은 1층은 일본 전통식 게다를 판매하는 점포이었고, 2층은 주거용 주택을 형성한 일본식 도시점포주택 형식인 마찌야 형식의 주상복합형 건축물로 모서리 부분 벽면을 45도 방향으로 처리한 점이 특이한 구조이다.

문화재 소유주인 할머니의 볼멘소리를 듣다 보니 문득 3개의 등록문화재로 둘러싸인 손소영 갤러리의 탁월한 입지가 떠올랐다. 문화재로 등록되지 않은 주택의 경우 문화재 등록 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유주가 재량껏 리모델링이나 증·개축을 할 수 있다.

투기 의혹에 재생사업 올스톱 위기

등록문화재 제718-15호로 지정된 옛 목포화신 연쇄점.
등록문화재 제718-15호로 지정된 옛 목포화신 연쇄점.
유달초 위쪽에 자리 잡은 이훈동 정원.
유달초 위쪽에 자리 잡은 이훈동 정원.
목포근대역사관으로 탈바꿈한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목포근대역사관으로 탈바꿈한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목포 근대문화거리 조성사업은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되면서 지지부진한 상태다. 목포에 지역구를 둔 박지원 의원은 6월 18일 페이스북에 (손혜원 의원 목포 투기 의혹으로) ‘목포는 울고 있다’며 ‘목포시민은 정치권이 왈가왈부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정부의 근대역사문화공간재생사업과 도시재생사업이 현재 거의 중단된 상태’라고 전했다.

실제로 올해 110억 원 예산을 들여 근대주택을 매입해 리모델링하려던 목포시의 당초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다. 목포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투기 의혹으로 호가만 크게 올라 시가 책정한 예산으로 살 수 있는 매물이 없어 사업 추진에 애를 먹고 있다”고 말했다.

도시재생지역으로 선정된 유달동과 만호동 일대는 손 의원의 투기 의혹이 불거진 이후 매물이 실종됐다. 한 부동산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호가만 있을 뿐, (투기 의혹이 불거진) 2월 이후 실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하루 빨리 정상화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투기 소리 땜시 베려부렀소. 도시재생이고, 문화거리 조성이고 뭐하나 제대로 되는 게 없당께.”

지역에서 문화재 보존 운동을 오랫동안 해왔다는 한 인사는 근심 섞인 표정으로 말을 이어갔다.

“(손 의원이) 왜 여기에다 조카들 집을 사줘서 이 소란인지…. 전국적으로 시끄러워진 탓에 오히려 여기는 더 조용해졌지 뭡니까. 뭐가 좀 되나 싶었다가도 지금은 쥐죽은 듯 조용해졌어요.”

서울 여의도 정치권이 손 의원 투기 의혹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벌이는 사이, 정작 목포 근대문화거리 조성을 계기로 목포 경제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던 다수의 목포 시민은 숨죽여 서울의 정치 공방이 가라앉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근대문화거리 한 가게 TV에서는 패널들이 ‘손혜원’ ‘목포’ ‘투기’를 입에 올리며 한참 동안 열변을 토했다. 물끄러미 TV를 바라보던 한 어르신이 혀를 끌끌 차며 혼잣말처럼 말했다.

“냅두면 (건물이) 다 쓰러지고 말 터인디, 온통 투기 타령이고만….”

목포=글·사진 구자홍 기자 jhkoo@donga.com

《이 기사는 주간동아 1194호에 실렸습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