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5일에 면회 간다고 전날 전화했을 때 ‘엄마, 4월은 안 돼’라고 네가 말했었지. 그때 미친 척하며 한 번이라도 부대를 찾아갔더라면 어땠을까. 면회가 안된다는데 찾아가면 너에게 불이익이 갈까봐 참았다. 바보 같은 엄마를 용서해다오.”
엄마는 먼저 떠난 아들에게 용서를 빌었다. 선임병들의 집단폭행과 가혹행위로 숨진 육군 28사단 윤모 일병의 어머니 안모 씨(58)는 8일 오후 열린 추모제에서 힘겹게 아들을 향한 그리움을, 아들을 지켜주지 못한 분노를 터뜨렸다.
편지를 쥔 손은 가늘게 떨렸다. 오른손에 쥐고 있던 연두색 손수건은 이내 눈물로 젖었다. 안 씨는 아들을 위한 추모제가 열린 서울 용산구 국방부 앞에서 15분간 미리 써온 편지를 읽었다. 차분하던 목소리는 어느새 울먹임으로 변해 있었다.
아들 잃은 엄마는 추모제를 찾은 시민 150여 명에게 “눈물 젖은 환영을 해줘 고맙다”고 말문을 뗐다. 안 씨는 “엄마는 네가 떠난 후 어떻게 살아왔는지 모르겠다. 가슴이 찢어지는 슬픔의 나날을 보냈다”고 했다. 이어 “응급실 침대에 남아있는 너를 보며 엄마는 하얗게 세상이 정지된 착각 속에 빠져 정신을 차릴 수 없었다”며 4월 6일 병원으로 이송된 아들을 본 순간을 회상했다.
안 씨는 떠나보낸 아들을 ‘하나님이 주신 보물 같은 아들아’라고 불렀다. 윤 일병이 방학이면 개학 전날까지 아르바이트를 하며 학비와 생활비를 벌고 부모 용돈까지 챙겨주던 일을 소개하며 말문을 제대로 잇지 못했다. 그토록 착하기만 했던 아들이 제대하면 오순도순 살 날을 기다렸지만 차가운 시신으로 돌아온 것이다.
하지만 윤 일병의 어머니는 슬픔에만 갇혀 있지 않았다. 안 씨는 “너의 죽음을 통해 제2, 제3의 윤 일병이 나오지 않도록 간절히 바란다”고 힘주어 말했다. 진실 규명도 요구했다. 그는 “모든 가족은 네가 없어 슬픔 속에 살아가고 있지만 정확한 진실이 규명되길 바란다”며 “너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살아가련다. 사랑하고 또 사랑한다”는 말로 편지 낭독을 마쳤다. ▼ “4월 5일 면회는 네가 안된다고 했지, 찾아가면 불이익 갈까봐 참았는데…” ▼
윤일병 어머니 눈물의 편지
윤 일병 사건을 폭로한 민간단체인 군 인권센터가 주최한 이날 추모제에는 윤 일병의 어머니 외에도 군 사망자 유가족 20여 명이 참석했다. 2011년 육군훈련소에서 뇌수막염으로 사망한 노모 훈련병(당시 21세)의 어머니는 숨진 아들에게 직접 쓴 편지를 눈물과 함께 읽었다. “이 땅에 태어나게 해 미안하다, 아들아. 힘없고, 빽 없는 엄마의 아들로 태어나게 해 정말 미안하다”는 대목에선 여러 참석자들이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유가족들은 지금과 같은 군대 조직 문화 아래서는 같은 사건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았다.
시민들은 저마다 국화 한 송이를 들고 윤 일병의 억울한 죽음에 조의를 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군 사망자 유족이나 시민단체 관계자뿐 아니라 일반 시민도 다수 참석했다. 군 인권센터와 언론사 등에는 이날 하루 종일 추모제 시간과 장소를 묻는 문의전화가 이어지기도 했다. 추모제에 참석한 홍진희 씨(32)는 “국방부는 이번 사태에 책임이 없다는 듯 대응한다”며 “군의 폐쇄적인 조직 문화를 감안했을 때 군법이 아닌 일반 형법으로 이번 사건을 다뤄야 신뢰가 갈 것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부 시민들은 ‘군 인권법 제정하라’, ‘축소은폐 책임자 처벌하라’ 등 문구가 새겨진 피켓을 들고 이번 수사 과정에서 불거진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이들은 행사를 마치면서 윤 일병의 몸에 든 멍을 상징하는 보라색 종이비행기를 국방부 청사 쪽으로 날려 보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