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신무기 분석 난항 겪은 軍 “日정보 끊기면 곤란”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8월 23일 03시 00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
한국 레이더로는 동해 감시 한계… 일각 “日위성 7대 공짜 이용 포기”
靑 “한미일 정보약정으로 보완”… 美 경유한 정보교환 잘될지 의문

김유근 국가안보실 1차장이 22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발표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김유근 국가안보실 1차장이 22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발표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청와대는 22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의 파기 결정에도 불구하고 한미일 3국 간 안보 협력이 와해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군 안팎에선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북한이 탐지 및 추적은 물론이고 요격이 힘든 신형 대남 단거리 타격전력 3종 세트의 전력화를 서두르고 있는 상황에서 협정 파기를 선택한 것은 대북 감시전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군 소식통은 “북한이 실전 배치한 KN-23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SRBM)과 대구경 조종방사포 및 ‘북한판 에이태킴스(ATACMS)’ 등 신종 단거리 3종 세트에 대응하려면 미국이든 일본이든 정보를 최대한 끌어와야 하는 상황에서 납득하기 어려운 결정”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우리 군의 대응 능력에 한계가 드러나기도 했다. 북한이 7월 25일 함경남도 호도반도에서 동해로 KN-23 신형 SRBM 2발을 쐈을 때 군은 비행거리를 각각 430여 km, 690여 km라고 했다가 다음 날 모두 600여 km로 정정했다. KN-23이 하강 단계에서 ‘풀업(Pull-up·급상승) 기동’을 해 우리 레이더의 탐지 고도를 벗어났기 때문이라고 군은 설명했다. 군 당국자는 “당시에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에 따라 일본이 제공한 관련 정보가 분석에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올해 이 협정을 통해 일본과 일곱 번 대북 정보를 교류했다. 천영우 전 대통령외교안보수석비서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일본은 우리는 1대도 없는 대북 정찰위성을 7대나 운용하고 있다. 수조 원에 달하는 일본 위성 7대가 수집한 영상 신호 정보를 돈 한 푼 안 들이고 공짜로 이용할 수 있는데 협정 파기는 어이없는 자해행위”라고 지적했다. 또 북한이 동해상의 북동쪽으로 SRBM이나 방사포 등을 쏘면 지구의 곡률(曲率)로 인해 우리 군의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에 ‘사각지대’가 생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일본 쪽에선 이 방향의 미사일을 끝까지 추적할 수 있어 더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청와대는 협정이 파기됐지만 2014년 말 체결된 한미일 정보공유약정(TISA)으로 보완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일 양국이 미국을 거쳐 북한의 핵·미사일 관련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 하지만 미국을 중개로 정보 공유를 하는 만큼 지금처럼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중론이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지소미아#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北 미사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