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첫 보고받고 김정은에 분노”… 13시간뒤 올린 트윗은 ‘차분’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5월 6일 03시 00분


[北 무력시위]美 맞대응 자제하며 신중모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3일(현지 시간) 페테르 펠레그리니 슬로바키아 총리와 회담하기 직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통화로) 북한에 대해 오랫동안 이야기했다”고 
말했다(왼쪽 사진). 4일 일본 도쿄 거리에서 한 여성이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소식을 보도하는 TV 스크린 앞을 지나고 
있다. 워싱턴·도쿄=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3일(현지 시간) 페테르 펠레그리니 슬로바키아 총리와 회담하기 직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통화로) 북한에 대해 오랫동안 이야기했다”고 말했다(왼쪽 사진). 4일 일본 도쿄 거리에서 한 여성이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소식을 보도하는 TV 스크린 앞을 지나고 있다. 워싱턴·도쿄=AP 뉴시스
북한이 3일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소식을 접한 미국의 반응은 신속하고도 신중했다. 백악관과 국무부, 국방부 등 관련 부처들이 강경한 맞대응을 자제하며 수위를 조절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북한을 달래는 모양새다. 그러나 북한이 향후 도발 강도를 높여갈 경우 ‘화염과 분노’식 대응으로 선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 면밀 분석 속 절제된 대응

트럼프 대통령이 4일(현지 시간)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은 내가 그와 함께한다는 것을 알고 있고, 나와의 약속을 깨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밝힌 시점은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가 이뤄진 뒤 13시간 만이었다. 그는 “김정은은 북한의 대단한 경제적 잠재력을 알고 있고, 이를 방해하거나 중단할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북한의 경제발전 가능성을 다시 거론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향해 북-미 합의를 깨지 말라는 경고와 함께 ‘아직 협상의 문이 열려 있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게서 북한의 발사와 관련해 상세한 브리핑을 받았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발사가 이뤄진 직후인 3일 밤 성명을 내고 “북한의 활동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필요에 따라 감시활동을 계속할 것”이라는 말 이외에 다른 평가나 반응을 내놓지는 않았다.

워싱턴의 외교 소식통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협상의 판을 깨지 않는 선에서 수위 조절을 한 저강도 도발로 보이는 만큼 미국도 북한의 의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절제된 대응을 내놓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볼턴 보좌관에게서 관련 내용을 보고받았을 당시에는 화를 냈다는 보도도 나왔다.

미 인터넷매체 복스(Vox)는 4일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이 자신을 속인 것처럼 화를 냈다(pissed off)”며 “고위 참모진이 그에게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하기 전에는 어떤 트윗도 올리지 말라’고 강하게 권고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다음 날 오전 트럼프 대통령이 트윗을 올릴 때에는 기분이 좋지는 않았지만 전날 밤처럼 벌컥 화를 내지는 않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 “北, 불만 표출하며 트럼프 압박”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와 언론들은 북한의 발사에 대해 “하노이 회담이 결렬된 뒤 북한 내부에서 커지는 불만을 표출하며 미국을 압박하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부에서는 “북한이 미국에 협상하자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는 해석도 내놨지만, 북한이 위협 수위를 높여갈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과거의 강경 대응으로 선회할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김 위원장이 할아버지, 아버지 때 쓰인 낡은 각본으로 되돌아가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적 성과로 자찬해온 북한의 핵, 미사일 실험 중단이 깨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다음 차례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는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협상에 흥미가 없는 트럼프 행정부 내 (강경파) 인사들이 있다”며 북한이 이들에게 협상 중단의 빌미를 제공할 가능성을 지적했다. 미 국가이익센터(CNI)의 해리 카지아니스 국방연구국장도 “어떻게든 피해야 하는 긴장 고조의 위험한 사이클로 되돌아가는 초기 단계에 놓인 게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3일 마이클 모렐 전 중앙정보국(CIA) 국장의 팟캐스트에 출연해 “북한과 협상이 결렬되고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미국은 분명히 경로를 바꿔야 할 것”이라고 경고한 것도 이런 전망을 뒷받침한다.

워싱턴=이정은 특파원 lightee@donga.com
#트럼프#김정은#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