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판 이스칸데르’ 곧 실전배치 되나…軍 대응책 마련 ‘시급’

  • 뉴스1
  • 입력 2019년 7월 26일 15시 42분


북한은 지난 25일 오전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단거리 미사일을  2발 발사했다. (노동신문)
북한은 지난 25일 오전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단거리 미사일을 2발 발사했다. (노동신문)


북한이 지난 25일 오전 쏘아올린 발사체가 ‘북한판 이스칸데르’와 유사한 형태의 탄도미사일로 확인되면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26일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을 ‘러시아 이스칸데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새로운 형태의 단거리탄도미사일’이라고 평가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도 “북한이 (매체를 통해) 공개한 (발사체) 사진을 보면 지난 5월4일과 9일 발사한 ‘KN-23’ 일명 북한판 이스칸데르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면서 합참의 설명에 무게를 실었다.

앞서 북한은 지난 5월4일과 9일 두 차례에 걸쳐 ‘북한판 이스칸데르(ISKANDER)’로 추정되는 KN-23 미사일을 연달아 발사했었다. ‘KN(Korea, North)’은 북한의 발사체에 붙는 코드명이다.

이스칸데르 미사일은 러시아가 개발한 최신형 단거리 전술 탄도미사일로 회피기동을 하며 목표물을 타격해 현존하는 미사일 방어 시스템의 요격을 대부분 회피할 수 있는 위협적인 무기로 평가된다.

이날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의 관련 보도 내용 중 미사일 발사를 두고 ‘새로 작전 배치하게 되는 신형전술유도무기체계’라고 설명한 것을 보면 북한은 지난 5월 발사했던 KN-23 미사일의 개발을 최종 완료하고 양산체제 및 작전부대 배치와 실전 운용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4일의 경우 북 발사체는 240㎞를 날아갔고 5월9일에는 270㎞와 430㎞를 각각 비행한 바 있다.

이번에는 비행거리가 약 600㎞라고 군이 전했는데 두 달 사이에 200여㎞가 늘어났다고 다른 미사일이라거나 개량형이 나왔다고 보기는 어렵고 처음부터 최대 사거리가 700㎞ 정도로 설계돼 개발된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지난 5월4일과 9일 발사는 개발 후 시연이라 만일을 대비해 최대 발사거리로 쏘지 않았다고 본다”며 “지난 5월 발사를 토대로 다소간 수정·보완은 있었겠지만 다른 버전의 미사일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처럼 북한의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실전 배치가 얼마 남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자 군 당국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스칸데르 미사일은 러시아가 SS-1 스커드, SS-23 오카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최신형 단거리 전술 탄도미사일로 단순 탄도비행으로는 600㎞를 넘으며, 복잡한 요격회피 비행을 하기 때문에 사거리가 짧다.

또한 낙하 속도도 음속의 10배에 가까워 한미 양국군의 패트리엇(PAC-3) 미사일로 요격이 불가능하며 비행고도가 낮아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로도 요격이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특히 이스칸데르의 개량형은 고체연료를 사용해 연료 주입시간이 필요 없고, 이동식발사차량(TEL)도 8개의 바퀴형, 전차 궤도형 등 두 종류가 있어 언제 어느 곳에서든지 자유롭게 미사일을 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져 선제 타격이 여의치 않다는 분석이다.

북한은 지난 25일 오전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단거리 미사일을  2발 발사했다. (노동신문)
북한은 지난 25일 오전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단거리 미사일을 2발 발사했다. (노동신문)

김 교수는 “미사일 발사된 약 700㎞는 상당히 의미있는 거리다. 북한의 압록강변에서 부산까지 거리이니 거의 북한 전역에서 남한 전역을 사정권으로 두고 있다는 것”이라며 “후방 어디서나 발사가 가능하니 사전에 탐색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실제로 군 당국은 이번 발사체 두 발의 비행거리를 두고 각각 430㎞, 690㎞했다가 약 600㎞로 된다고 수정하면서 사실상 미사일을 제대로 탐지 못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합참 관계자는 “북한 미사일은 일반적인 탄도미사일의 곡선 비행이 아닌 레이더 상실고도(음영구역) 이하에서 ‘풀업’(하강단계서 상승기동 비행) 기동을 해서 초기 판단된 비행거리와 차이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동식 발사차량(TEL)의 경우 모든 감시 자산을 투입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탐지 자산들은) 대한민국을 보호하기 위해 운용되는 것으로 북에서 남쪽으로 오는 대부분의 탄도미사일은 다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다 할지라도 전문가 일각에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의 대응전력인 ‘한국형 3축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국형 3축체계는 킬체인(Kill Chain)과 한국형미사일방어(KAMD), 대량응징보복(KMPR)로 남북간 군사적 대치 상황이 이어졌던 박근혜 정부에서 정립된 개념이다. 우리 측으로 날아오는 미사일을 요격하는 다층방어체계로 탐지체계, 지휘통제체계, 요격체계로 구성된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북한 미사일 발사를 사전에 탐지해 무력화하는 킬 체인(전략 표적 타격) 강화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군 당국은 어떠한 위협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사일 방어능력을 지속 보강해가고 있다는 입장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