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美, 대북 ‘세컨더리 제재’ 경고… 韓에 쏠리는 의심 털어내야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0월 15일 00시 00분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이 홈페이지에 게시한 특별지정제재대상(SDN) 명단의 북한 관련 기관·개인 신상정보란에 ‘세컨더리 제재 주의(secondary sanctions risk)’라는 문구를 최근 추가했다. 세컨더리 제재는 제재 대상 국가, 즉 북한과 거래한 제3국 개인 또는 기관까지 처벌하는 미국 독자적 제재로서 ‘세컨더리 보이콧’과 같은 개념이다.

대북제재 위반에 대한 경고 수위를 올린 이번 조치는 미 재무부가 지난달 이례적으로 우리 국책은행과 시중은행 7곳과 전화회의를 열어 엄격한 대북제재 준수를 주문한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미 재무부는 9·19 남북 평양공동선언 발표 직후 우리 은행들과의 전화회의를 요청해 “제재를 위반하지 않길 바란다. 너무 앞서가면 안 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고 한다. 우리 은행들의 대북제재 위반 가능성에 대한 명백한 경고 메시지가 아닐 수 없다.

그동안 대북제재 완화를 둘러싼 한미 정부 간 이견은 잇단 불협화음으로 표출되고 있다. 우리 외교부 장관의 부주의한 ‘5·24조치 해제 검토’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싸늘한 공개 경고까지 낳았다. 미국의 불신은 이제 한국의 은행들에까지 향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다. 앞서 7월엔 북한산 석탄이 국내에 밀반입되는 과정에 국내 은행이 연루됐다는 의혹까지 산 바 있다. 우리나라 은행들이 북한과 직접 거래하지 않더라도 북한과 거래하는 한국이나 외국 기업에 자금을 조달하는 것 자체가 대북제재 위반이 될 수 있다.

대북제재 위반으로 세컨더리 제재 대상이 되면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 금융망에서 퇴출될 뿐만 아니라 파산까지 각오해야 한다. 미국 금융제재의 파괴력은 2005년 ‘방코델타아시아(BDA) 사태’로 입증된 바 있다. 당시 미국은 북한과 거래하던 마카오의 BDA은행을 ‘주요 자금세탁 우려대상’으로 지정했고, 세계의 모든 금융기관은 북한과의 자금 거래를 중단했다. 북한엔 ‘피가 얼어붙는 고통’을 줬고, BDA은행은 파산과 함께 존재 자체가 사라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유럽 순방에 앞선 BBC 인터뷰에서 남북관계에 대해 “국제 제재의 틀 속에서 그 제재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시작하려 한다”며 공동조사와 연구, 향후 방안 협의 등을 예시했다. 제재를 완화하는 조치가 아닌, 제재 완화에 대비한 조치라는 얘기지만 그 경계는 모호하기만 하다. 특히 두 번째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미국은 엄격한 제재 이행을 강조하며 한국의 동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미국의 의심부터 털어내야 한다.
#특별지정제재대상#세컨더리 제재#대북제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14

추천 많은 댓글

  • 2018-10-15 04:34:13

    좋은게 좋은것이라꼬 둘이서 악수하고 사진찍고 하모 다 끝난줄 알모 큰 오산이다. 한국 정치는 유언비어로 선동하고 국민 감성에 기대모 대통령끌어내리고 지가 대통령할 줄은 몰라도 세상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않다. 비핵화는 안중에도 없고 지인기만 챙기모 나라 망한다.

  • 2018-10-15 06:44:09

    얼치기 진보의 탈을 쓰고 쌩뚱맞은 짓만 일삼으면서 "핵폐기"를 우선 "퍼주기"로 은밀히 둔갑시키는 음모의 마각이 드러났다. 세상이 무모하고 뒤틀린 신념이라고 할수록 자신들은 정의롭다고 억지쓰는 집단. 그들만의 허황된 이념의 감옥에 갇혀있다.

  • 2018-10-15 07:12:55

    미국의 인내도 바닥이 나고 있다는 이야기. 미국인의 특징은 참을 때까지 참다가도 결론을 내리면 냉정하다. 김정은을 착한 사람 만들려는 한국 정권 때문에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