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9월 중 열기로 한 남북 정상회담 일정 논의 등을 위해 5일 평양으로 대북 특별사절단을 보낸다. 3월에 이어 올 들어 두 번째 특사 파견이다. 청와대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이 취소되는 등 북한 비핵화 협상의 논의가 막힌 상황에서 특사 파견으로 물꼬를 트겠다는 구상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31일 “오늘 오전 우리 쪽은 북측에 전통문을 보내 5일 문 대통령의 특사를 파견하겠다고 제안했고 북측은 오후에 특사를 받겠다는 회신을 보내왔다”며 “대북 특사는 남북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개최 일정과 남북 관계 발전,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 정착 등을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 쪽에서만 (특사 파견을) 생각한 것은 아니며 남북 모두 여러 경로를 통해 이 문제를 협의했다”며 “이 시점에서 특사 파견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무산되고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이 “더는 한미 연합훈련을 연기할 계획이 없다”고 밝히는 등 미국 백악관의 기류가 심상치 않은 상황에서 남북이 특사 파견으로 돌파구를 열기로 합의한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도 “이번 특사단은 북-미 대화 문제, 비핵화 문제를 풀어 간다는 목적이 더 크다”고 말했다.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회담 취소를 전격 발표한 직후인 5월 26일 남북 정상이 판문점에서 두 번째 정상회담을 가졌던 것과 이번 특사 파견이 비슷한 성격이라는 의미다.
한편 두 번째 대북 특사단의 규모와 구성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연속성 등을 고려해 첫 대북 특사단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3월 대북 특사단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 5명으로 구성됐다.
당시 대북 특사단은 평양에서 1박 2일 동안 머무르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등을 만났다. 하지만 이번에 김 위원장과의 면담 여부에 대해서는 확답을 듣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