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은 단기 성과보다는 양국 지도자 간 신뢰관계를 구축한 게 가장 큰 의의라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공산당 고급 간부 양성기관인 중앙당교 조호길(趙虎吉·사진) 교수는 5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이번 만남에서 역사의식과 철학을 공유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교수는 “중국 지도부와 과거 한국 대통령 사이에는 ‘신뢰’라고 부를 만한 관계 구축이 없었다”며 “박 대통령의 서울프로세스, 시 주석의 신형대국관계에서 보듯 양측이 주변국 및 강대국 외교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을 갖고 있고 이 같은 점이 서로를 이해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박 대통령이 역대 어느 한국 지도자보다 중국을 이해하려 노력하고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줬다는 점에 큰 점수를 줬다. 조 교수는 “박 대통령이 이렇게 먼저 다가섬에 따라 중-한 관계가 지도자 간 우의와 믿음에 기초해 대전환점을 맞을 수 있는 기초를 닦았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이번 방중의 또 다른 성과로 양국 정상이 한반도 비핵화를 넘어서 동북아 전체의 정치구도를 논의했다는 점을 높게 샀다. 일본은 우익화로 치닫고, 북한은 핵무장을 통해 극단으로 가면서 동북아가 신(新)냉전 상태로 내몰리는 상황에서 한중 주도의 지역 균형 해법을 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동북아 당사국을 통합 조정할 수 있는 힘의 균형을 모색했다는 점에 큰 의의를 둘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장기적으로 중한 관계가 질적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한미 동맹에 대한 개념 정립 등 미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풀어 가느냐가 핵심 변수”라고 주장했다.
한편 5일 베이징(北京) 차오양(朝陽) 구 메리엇호텔에서 열린 ‘한중 관계 발전 좌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도 조 교수와 비슷한 견해를 내놓았다. 한반도 전문가인 장롄구이(張璉괴) 중앙당교 교수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한중 양국의 공감대가 커졌다”며 “북한이 최근 대화 공세에 나서고 있지만 진정으로 핵을 포기할 의사가 없는 만큼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더 큰 압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치바오량(戚保良) 현대국제관계연구원 조선반도연구실 주임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양국 공동성명에 표현된 것보다 양국 정상이 논의 중 얻은 공통인식이 훨씬 많았을 것”이라고 전했다. 퍄오광지(朴光姬)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한중 관계는 중국과 주변 지역 관계의 모범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