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무덤 지방선거, 일꾼론으로 넘자”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월 16일 03시 00분


집권2년차 선거전략 고심

박근혜 정부는 5년 임기 내에 지방선거(6월)와 국회의원 총선거(2016년 5월)를 모두 치러야 한다. 두 번의 선거 결과는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주도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 첫 시험대가 집권 2년 차에 맞게 될 6·4지방선거다. 역대 지방선거는 여권의 절대 열세로 끝났다. 5전 4패. ‘집권당의 무덤’으로 불리는 이유다. 특히 집권 중후반기인 3∼5년 차에 열린 지방선거는 여당의 완패였다. 유일한 예외는 1998년. 김대중(DJ) 정부 1년 차에 실시된 당시 지방선거에서 공동 여당은 16석 중 10석을 휩쓸어 대승을 거뒀다.

○ 여권에 지방선거는 악몽

DJ 정부 출범 3개월 만에 치러진 1998년 선거는 대선 승리의 여운 속에서 치러졌다. 그만큼 예외적인 경우라는 얘기다.

하지만 집권 3∼5년 차에 치러진 4번의 선거는 야당이 주장하는 ‘정권 심판론’의 바람이 거셌다. 특히 대통령의 핵심 측근들이 후보로 나선 지역에서는 민심의 심판이 더욱 혹독했다.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16개 광역단체장 중 딱 한 곳만 승리했던 2006년 지방선거에서 노무현 정부는 장차관급 고위 관료 출신 9명을 광역단체장 후보로 내보냈다. 지방선거 3개월 전 현직 장관 6명을 빼내 선거에 내보낼 정도로 차출 규모가 컸지만 살아 돌아온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이명박 대통령도 2010년 지방선거 때 경남도지사 후보로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을 차출했지만 무소속 김두관 후보에게 졌다.

○ 참신한 지역 일꾼을 찾아라

이 때문에 여권 주변에선 정권의 핵심 측근을 차출하면 승리를 담보할 수 없다는 인식이 공감을 얻고 있다. 박 대통령도 현직 관료들을 징발해 선거를 치를 생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대신 박 대통령이 야당인 한나라당 대표 시절 승리를 거둔 2004년 6·5보궐선거에 주목하는 시선이 많다.

보선 직전 4월 총선에서 152석으로 과반수를 달성한 열린우리당과 121석으로 선전한 한나라당이 경남지사와 부산시장을 두고 치열한 접전을 벌였다. 당시 박 대통령은 경남지사 후보로 하순봉 이주영 등 중진 의원을 제치고 42세의 김태호 거창군수를 내세워 승리할 수 있었다. 부산시장 선거도 해양수산부 장관(오거돈 후보)을 차출한 열린우리당에 맞서 부산시 정무부시장을 지낸 허남식 후보를 ‘풀뿌리 후보’로 내세워 이겼다. 거물보다는 ‘참신한 지역 일꾼론’이 주효했던 것이다. 여권의 고민은 그런 콘셉트에 맞는 여권의 후보군 인선이 쉽지 않다는 데 있는 것 같다.

○ 보수 결집 효과 있을까?

충청권은 역대 전국 선거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해 왔다. 여권은 2006년 지방선거를 제외하곤 이 지역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역대 지방선거에서 충청권에는 자유민주연합→국민중심당→자유선진당으로 이어지는 충청지역을 근거로 하는 지역 보수 정당이 존재했다. 보수 표가 갈리면서 민주당이 어부지리를 얻기도 했다.

2010년 충남도지사 선거에서 민주당 안희정 후보는 절반에 미달하는 42.3% 득표로 가까스로 승리했다. 보수표가 자유선진당 박상돈 후보(39.9%)와 한나라당 박해춘 후보(17.8%)로 갈렸기 때문.

하지만 이제는 선진통일당이 새누리당에 합당되면서 충청권에선 보수 세력이 결집된 형국이다. 반면 야권은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 정의당, 통합진보당 등으로 분열돼 있다. 여권은 충청권의 보수 결집에 기대고 있지만, 민주당 소속 안 지사의 ‘현직 프리미엄’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동정민 ditto@donga.com·손영일 기자
#박근혜#지방선거#국회의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