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의 13일 탈당 기자회견을 바라보는 새누리당의 속내는 복잡해 보인다.
당장 4개월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서 제1야당이 분당되는 것은 여당에 나쁘지 않은 상황이다. 몇백 표 차로 당락이 갈리는 서울 등 수도권 접전 지역에선 야당 분열은 여당에 분명 호재다. 야당의 수도권 의원들이 막판에 안 의원의 탈당을 만류하기 위해 분주하게 뛴 이유다.
안 의원의 탈당을 계기로 야권은 ‘문재인당’과 ‘안철수당’의 선명성 경쟁 구도로 급변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그 과정에서 정책 비전을 통한 노선 경쟁이 아니라 상대방을 헐뜯는 국면으로 흘러갈 경우 야권의 미래는 기약할 수 없다는 게 여당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한 여권 인사는 “지금 문 대표나 안 의원의 모습을 보면 정강 정책을 놓고 싸우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과거 야당의 구태를 못 벗고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런 점을 우려한다면 안 의원은 ‘세’ 불리기보다는 당분간 ‘제3지대’에 머물며 안철수당의 비전을 정리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묻지 마’식으로 이뤄질 세 불리기는 안철수당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안철수표 혁신을 하나씩 던지며 새로운 신당에 대한 우호적 여론을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그러면서도 여당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문재인당’과 ‘안철수당’이 극적인 단일화의 반전을 시도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내년 20대 총선을 겨냥한 야권 단일화를 위한 정치적 제스처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논평했다. 특히 야당이 집요하게 매달리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거론하며 정치적 배경에 의혹을 제기했다.
여권 내부에선 ‘문재인당’과 ‘안철수당’이 총선 전에 합치기보다는 총선 이후 대선 정국에서 반전의 모멘텀을 찾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안철수 의원의 탈당은 당장 주요 쟁점 법안 처리에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야당 지도부가 노동개혁 법안이나 경제활성화법 등 주요 법안 처리에 관심을 쓸 여력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당장 15일 원포인트 본회의에서 처리해야 하는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도 물거품이 될 공산이 커졌다. 야권 분열로 인해 그동안 야당이 주장해온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더더욱 새누리당이 받을 수 없는 카드가 됐기 때문이다.
이날 김용남 원내대변인은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면 정당 투표에서 10%만 득표해도 (비례대표) 30석을 줘야 한다”며 “총선을 치른 후 제2당과 제3당이 합당하면 대략 200석에 가까운 거대 야당이 탄생하게 된다”고 비판했다.
댓글 0